조직에 있어 인사운영은 기본이다. 특히 공무원조직에 있어 인사는 만사로 통한다. 잘 해도 본전이라는 말이 있을만큼 인사 뒤에는 뒷말도 무성하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근다는 식으로, 그렇다고 인사요인이 발생하는데 하지 않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의정부시는 지난달 말 직원 200여명에 대한 인사를 단행했다. 전체의 20%가 넘는 대규모 인사였다. 대체적인 평은 차치하자. 지금 의정부가 떠안고 있는 현안 중의 하나가 의정부 민자역사 사업이다. ‘하자니 그렇고 안 하자니 그렇다’는 게 청내 여론이다. 그만큼 부담이 된다는 의미다.
그런데 이번 인사에 사실상 주무부서라고 할 수 있는 주택과와 도시계획과 담당들이 자리를 옮겼다. 우연한 일치겠지만 계장도, 담당 직원도 모두 바뀌었다. 인사도 결국 주민들을 위한 것이라고 한다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업무 인수인계가 잘 안된다’. 자리를 옮긴 한 직원의 입에서는 쉽게(?) 이런 말이 나온다.
진지한 검토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사업이 이렇게까지 진행됐는데 지금에 와서 어떻게 하겠느냐’는 일부 관련 직원들의 말을 잠시 빌리자면 이미 사업은 절차만 남았다는 뜻인가. 한 고위 간부는 문제가 됐던 몇몇의 지역에서도 사업이 진행됐다며 의정부시도 마찬가지일텐데 소송까지 치러 비용을 낭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한다.
의정부의 특성을 전혀 모르고, 또한 고려하지 않은 말이다. 직접적인 영향권에 있는 상인들은 물론 의정부시의회도, 시민단체도 민자역사 추진에 눈귀를 모으고 있다. 여차하면 집단행동에 들어갈 태세다. 이런 지역여론을 의정부시가 외면해서는 결코 안 된다.
지역에서 돈을 벌겠다는 신세계 의정부역사(주)는 여전히 시민들의 알권리를 무시하고 있다. 잠시 기다리라는 여직원의 말에 직원과 통화를 하면 이내 회의중이라고 전화를 끊는다. 회의중인 직원을 여직원이 연결시켜 줄리는 결코 없다. 결국 시민들에게 사업을 알릴 필요조차 느끼지 않는다는 속셈으로 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행정당국의 역할이 필요하다. 시민을 생각하는 의정부시가 되길 촉구한다.
/배 성 윤 기자 syba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