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IE/어떤 나라. 애프터 썬셋

■어떤 나라

평양 여중생의 하루는 어떨까…

미국 플로리다의 마이애미 해변을 가득 메울 만한 1만2천여 명의 어린 학생들. 이들은 운동장과 관중석을 가득 메운 채 카드 섹션과 집단 체조를 펼치고 있다.

입이 쩍 벌어질 만한 스케일과 일사불란한 동작에 묘한 매력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우스꽝스럽기도 하고 전체주의적인 동작에 반감이 생기기도 한다.

아마도 지구상에 현존하는 가장 화려한 스펙터클 중 하나일 듯한 이 장면은 바로 북한이 자랑하는 대집단체조의 모습이다.

서방 세계에서 북한 하면 생각나는 가장 상징적인 장면인 이 광경에 대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이미지 그대로의 겉모습일 뿐이다.

하지만 꽉 닫혀있는 듯한 이 집단의 틈을 비집고 들어가 본다면 어떤게 있을까? 마치 기계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서양의 시선으로 북한 주민들의 모습을 다룬 보기 드문 다큐멘터리 영화 ‘어떤나라’(State of Mind)가 26일부터 남한 관객들을 만난다.

진중하게 잘 만들어진 다큐멘터리의 힘이 피상적인 이미지를 깨뜨리고 그 안의 실체에 접근하는 데 있듯, 영화는 비판이나 옹호 같은 의견을 배제한 채 편견을 넘어서 진짜에 가까운 북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화의 중심에 있는 인물은 이 집단 체조에 참가했던 10대 초반의 두 여학생이다.

카메라는 겨울부터 이듬해 가을까지 강도 높은 훈련을 받는 이들을 보여준다. 미국의 부시 대통령과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김정일과 북한을 ‘악의 축’(Axis ofEvil)으로 규정하던 2002년과 2003년. 13살 현순이와 11살 송연이는 북한 최고의 행사인 전승기념일의 집단 체조(매스 게임)에 참여하게 된다.

이들 역시 다른 나라의 십대들처럼 가끔은 연습을 몰래 빼먹기도 하고 학교에 지각을 하기도 한다.

부모님의 잔소리를 지겨워하기도 하며 성적에 대해 고민하는 것도 다른 곳의 또래들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들에게 다른 나라의 틴에이저들에게는 없는 것이 있으니 바로 당에 대한 충성심이다.

이들은 공연에 참여하게 된 것에 감격스러워하며 힘든 훈련을 이겨낸다.

연출자 대니얼 고든 감독은 북한에서 제작한 자신의 첫 영화 ‘천리마 축구단’ 이후 얻게된 북한 당국의 신뢰를 바탕으로 주민들의 삶에 가깝게 들어간다.

“내 방이 생겨서 무척 좋습니다”고 말하는 송연이의 모습이나 90년대 중후반의 ‘고난의 행군’ 시절을 회고하며 “딸의 생일에 옥수수죽을 끓여먹어야 했다”고 말하는 송연의 어머니의 모습처럼, 영화는 북한 사람들이 자신들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자연스러운 모습을 담고 있다.

학교 성적의 하락을 고민하면서, 그리고 부상의 고통을 이겨내면서 그 곳의 아이들이 흥분 속에 대집단체조에 참여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겉으로 보이는 것처럼 단지 지도자 개인에 대한 충성심과는 다른 차원이 있는 듯하다.

■애프터 썬셋

훔치려는 자 vs 막으려는 자 숨막히는 두뇌게임

전설의 보석 절도 커플 맥스(피어슨 브로스넌)와 롤라(셀마 헤이엑). 철저한 계획과 척 맞아 떨어지는 타이밍, 그리고 절묘한 콤비 플레이와 확실한 알리바이 설정까지 최고의 실력을 과시하는 이들 커플은 마지막으로 FBI를 절묘하게 속이고 한 탕을 한 뒤 은퇴를 선언한다.

그동안 벌어 놓은 돈을 가지고 이들이 은신한 곳은 환상적인 해변이 있는 캐리비안의 바하마. FBI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곳인 데다 자연 환경도 말 그대로 낙원 수준이니 새 삶을 살기에는 부족함이 없는 곳이다.

두 사람은 바닷가에 멋진 집을 마련해 매일같이 수상 스포츠와 맛있는 바다 요리, 트로피칼 풍의 음료수를 즐기며 한가로운 생활을 한다.

하지만 휴양지에서의 생활은 넉넉잡아 일주일이면 족한 것. 바쁘게 업무를 봐 오던 맥스의 입장에서 이곳에서의 생활은 더할 나위 없이 따분할 뿐이다.

반면 맥스와 달리 롤라는 유유자적한 삶에 만족하고 있는 편이다.

함께 지는 태양(썬셋)을 보며 평생을 보내자며 결혼하자고 조르지만 맥스는 결혼을 차일피일 미루기만 한다.

한가한 혹은 따분한 생활을 보내던 이들 앞에 어느날 항상 당하기만 하던 FBI요원 스탠(우디 해럴슨)이 나타난다.

이들의 은퇴를 믿지 않는 스탠이 계속 주변을 맴도는 것은 얼마 후 이곳에서 있을 보석 전시회 때문이다.

어수룩한 스탠이 전해 준 전시회 소식은 마침 심심하던 맥스에게는 간만에 생긴 흥밋거리일 수밖에. 하지만 은퇴 후 편안한 노후를 즐기려던 롤라는 맥스의 관심에 자꾸 신경이 쓰일 뿐이다.

캐리비안의 해변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보석 절도의 귀재와 FBI 요원 사이의 한판 승부를 그린 영화 애프터 썬셋(After Sunset)이 25일부터 관객들을 만난다.

훔치려는 자와 이를 막으려는 사람 사이의 두뇌 게임과 친구와 적 사이를 오가는 두사람의 해프닝이 이 영화의 주된 관람 포인트.

하지만 영화는 연기도 캐릭터도 유머도 한결같이 밋밋한 까닭에 평범한 재미 이상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피어스 브로스넌이 연기하는 보석 도둑은 영리하다기 보다 둔해 보이고 우디 해럴슨이 맡은 어리숙한 FBI 요원 역시 익살스러운 맛이 없다.

줄거리 역시 우왕좌왕하며 개연성이 떨어지는 편이며 뻔한 유머도 관객들을 웃음의 도가니로 몰아 가기에 부족함이 많아 보인다. ‘러시아워’ 시리즈를 만든 브렛 레트너가 메가폰을 잡았다. 상영시간 100분. 15세 이상 관람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