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현장에 사건담당 형사들?

평택경찰서장은 주민 37만명에 대한 민생치안 확립은 물론 일선 경찰 사기 진작에도 주력해야 한다.

지난 3일 평택 대추분교에서 미군기지 이전에 반대하는 주민 및 시민단체들이 1년여동안 연 미군기지 이전 반대 촛불시위 1주년을 기념하는 문화제를 열었다. 이곳에 모였던 주민과 시민단체 회원들은 줄잡아 500여명.

경찰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 의경 11개중대와 사복경찰 등 1천100명이 넘는 경력을 투입했다. 물론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예민한 시기에 촛불시위 1주년을 기념하는 문화제가 열린다면 경찰 입장에선 당연히 경력을 투입, 만약의 사태에 대비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지난달 28일 평택시 합정동 J아파트에 괴한이 침입, 집 주인을 흉기로 살해한 사건이 미궁으로 빠질 수도 있는 상황에서 사건 담당 형사들까지 사복조로 투입된 건 전후좌우를 파악하지 못한 조치였다는 지적이다.

사건이 발생한지 1주일이 지났다. 범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아파트 베란다 등에 찍인 지문과 범인이 사건 후 신발을 바꿔 신고 달아 나면서 놓고 간 신발이 평택 소재 한 점포에서만 취급되는 신발임을 감안, 범인이 카드를 사용해 신발을 구입했을 가능성 등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채취된 지문으로는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고 범인이 신발 구입시 카드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수사 자체가 미궁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때문에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찰서장이 살인사건 담당 형사들을 촛불시위 1주년 기념 문화제에 사복조로 투입시킨 조치는 아무리 설명해도 이해할 수 없는 처사다. 집단 민원도 중요하나 경찰 본연의 업무인 민생 치안에도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 주길 기대해 본다.

/최해영기자 hy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