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만 돌파한 ‘왕의 남자’ 최다관객 기록 수립에 도전!

기존 흥행공식의 허를 찌르는 사극으로 정면승부를 펼친 '왕의 남자'가 흥행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연초부터 극장가에 '왕의 남자' 흥행돌풍이 거세다.

조선조 연산군 시대를 배경으로 자유를 갈망한 광대들의 찬란한 슬픔을 정통 사극으로 빚어낸 이준익 감독의 '왕의 남자'가 17일 집계된 박스오피스에서 개봉 3주만에 관객 500만명을 돌파했다.

이는 '태극기 휘날리며'(1천174만명),'실미도'(1천108만명),'친구'(818만명) 등 역대 대박을 터뜨린 한국영화들의 기록에 도전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

지금까지 겨울 극장가의 흥행은 톱스타와 거액의 제작비를 들인 코미디나 드라마,액션 등 오락성이 강한 장르가 차지했다. 특히 사극은 신세대의 구미를 당기기에는 낡은 인상이 강해 한국영화의 취약 장르 중 하나이고 때문에 다른 장르에 비해 상대적으로 A급 스타 캐스팅이 어렵다.

따라서 '왕의 남자'는 사극영화 흥행기록을 보유하고 있던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358만명)를 가볍게 넘어섬으로써 한국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사극에서 보여줬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이와 함께 영화의 원작으로 삼은 연극 '이'(爾)의 탄탄한 드라마도 흥행돌풍의 한몫을 단단히 했다. 연산군 시대,왕과 광대의 신명나는 궁중놀이라는 영화의 소재는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고 드라마는 가벼운 희극이 결코 줄 수 없는 묵직한 감동을 전해줬다.

'태풍''청연''킹콩' 등 블록버스터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제작비(43억원)를 들인 '왕의 남자'는 캐스팅도 과감했다. 감우성과 정진영,신인 이준기 등 연기파 위주로 배우들을 섭외했고 여기에 장항선 강성연 유해진 정석용 이승훈 등 조연들의 호연이 더해졌다. 이는 반짝스타들의 어설픈 연기에 식상해진 관객들이 이 작품을 찾는 또다른 이유로 작용했다.

여기에 영화의 화려한 영상은 색다른 볼거리를 선사했다. 팔딱팔딱 살아 움직이는 광대들의 동작과 표정은 거대한 함선을 폭파시키는 것에 뒤지지 않는 파워와 스릴을 안겨주며 화면을 무지개빛으로 물들였다.

영화평론가 심영섭씨는 "젊은 관객들은 운명적이고 비극적 사랑에,중장년층은 권력에 대한 허무감에 매력을 느끼는 것 같다"며 "빨강과 파랑의 색채적 대비나 왕과 광대를 왕실에 함께 등장시킨 파격적 연출,배우들의 좋은 연기와 드라마틱한 시나리오가 흥행돌풍으로 연결된 것"이라고 평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