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의회가 임기 마지막 회기에서 집행부가 재상정한 조례안을 승인해 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 때문에 시의회와 집행부간에 깊어진 갈등의 골이 표면적으로나마 해소될 것 같은 분위기다.
지난 임시회를 끝내고 시의원들은 공무원들의 곱지 않은 시선에 부담을 겪었을 것 같다. 더 나아가 시민들의 따가운 시선에도 자유롭지 못했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왜냐하면 직제 신설과 정원 승인은 어렵게 시험을 통과한 새내기 공무원들이 발령을 받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진 까닭이다.
그래서 시의회의 조례안 부결로 촉발된 집행부 입장 발표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시의원들의 행태를 비판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공무원들은 시의원들이 정치적인 논리와 감정으로 조례안을 부결시켰다는 성토 분위기였다. 발표한 논평이 호응을 받았고 시의원들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는 추세로 이어졌다.
이에 시의회도 반박하는 성명으로 집행부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그대로 노출했다. 시의회의 권한을 행사한 의결권을 비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집행부의 입장 발표가 왜 호응을 받고 있었는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없는 성명은 자기합리화로 보여 안타깝다. 시의원들은 말한다. 시의회가 집행부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것이 주어진 임무라고.
집행부에 대한 감시와 견제가 중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시정을 잘 이끌기 위해서는 견제와 감시도 필요하지만 시의회가 간과한 것이 있다. 집행부에 대한 협조와 조정 역할이다. 협조와 조정 역할이 순기능을 발휘할 때 시가 발전하는 것이 아닌가 묻고 싶다.
잘못한 것은 따끔하게 질타해야 한다. 이는 시의회에 주어진 권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사건건 시비를 걸고 비판만 한다면 시정은 발전하지 못한다. 이런 관점에서 시의회가 뒤늦게 나마 직제개편 등을 승인할 것으로 알려져 시의회에 걸었던 기대가 살아나는 것같아 박수를 보내고 싶다.
/이승환기자 lsh@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