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개국 194편의 영화가 선보이는 올 전주국제영화제에서 과연 어떤 영화를 골라 봐야 할까. 영화제 두 프로그래머(정수완·유은성)가 이런 관객들의 고민을 해결해 주기 위해 각 아이템별로 상영작을 추천했다.
△가족이 함께 볼 수 있는 영화
구름에 가린 별(리트윅 가탁 회고전), 기나긴 이별(소비에트 특별전·키라 무라토바), 천리주단기(영화궁전·장이머우), 내 동생은 강아지(영화궁전·피터 팀), 우크라이나에서 온 편지(영화궁전·리브 슈라이버), 리브 앤 비컴(영화궁전·라두 미하일레아누), 비바 쿠바(영화궁전·후안 카를로스 크레마타 말베르티), 달에 처음 간 사나이(인디비전·알렉세이 페도르첸코), 뿌리(영화궁전·파벨 룽긴), 배드 뉴스 베어즈(영화궁전·리차드 링클레이터)
△거장들의 영화
평범한 연인들(시네마스케이프·필립 가렐), 마법의 거울(시네마 스케이프·마노엘 데 올리베이라), 콘크리트 컨스트럭션(시네마 스케이프·요리스 이벤스), 까뮈 따윈 몰라(시네마 스케이프·야나기마치 미츠오), 나의 아버지는 100살(시네마 스케이프·가이 매딘), 지진 속의 피아노 조율사(시네마 스케이프·퀘이 형제)
△공포영화
홈커밍(시네마스케이프·조 단테), 곤충의 집(시네마스케이프·구로사와 기요시), 헤르미나필드-시대정신(디지털스펙트럼·피터 할라즈), 람포지옥(불면의 밤·다케우치 스구루, 짓소지 아키오, 사토 히사야스, 가네코 아츠시), 광기(불면의 밤·얀 슈반크마이에르), 코마(한국영화의 흐름·공수창)
△눈물샘을 자극하는 영화
사이에서(한국영화의 흐름·이창재), 구름에 가린 별(리트윅 가탁 회고전), 비르와 자라(영화궁전·야시 쵸프라), 모래의 집(시네마스케이프·앤드류차 웨딩턴), 제분기(시네마스케이프·우메쉬 쿨카르니)
△동성애를 소재로 한 영화
미세스(시네마스케이프·제제 타카히사), 컴배트(디지털스펙트럼·파트릭 카르팡티에), 달콤한 열여섯(시네마스케이프·리차드 글라체, 워시 웨스트모어랜드), 마사지사(디지털스펙트럼·브릴란테 멘도자)
△로맨스 영화
연애의 기술(디지털스펙트럼·칸 루메), 나인 라이브스(시네마스케이프·로드리고 가르시아), 어둠 속의 심장박동(시네마스케이프·나가사키 ??이치), 달콤한 열여섯(시네마스케이프·리차드 글라체 등), 마데이누사(인디비전·클라우디아 로사), 그녀의 서른번째 생일(한국영화의 흐름·박지원), 퍼펙트 커플(시네마스케이프·스와 노부히로)
△성장영화
가족(인디비전·루이즈 아샹보), 비바 쿠바(영화궁전·후안 카를로스 크레마타 말베르티), 우크라이나에서 온 편지(영화궁전·리브 슈라이버), 배드 뉴스 베어즈(영화궁전·리차드 링클레이터), 스무살이 되기 전(영화궁전·매튜 탕)
△야한영화
어둠 속의 심장박동(시네마스케이프·나가사키 ??이치), 침대에서(시네마스케이프·마티아스 비제), 생산적 활동(한국영화의 흐름·오점균)
△잔잔한 웃음을 주는 영화
내 동생은 강아지(영화궁전·피터 팀), 스키 점핑 페어-2006 토리노로 가는 길(영화궁전·마시마 리치로)
△음악이 소재인 영화
20 센티미터 20(불면의 밤·라몬 살라자르), 브라더스 오브 더 헤드(불면의 밤·키스 풀튼, 루이스 페페), 하바나 블루스(불면의 밤·베니토 잠브라노)
△정치·사회적 갈등에 관한 영화
검은 밤, 1961년 10월 17일(시네마스케이프·알랭 타스마), 전장의 미소(인디비전·마그누스 베즈마), 참회(소비에트 특별전·텐기즈 아불라제)
△컬트 영화
스테레오·미래의 범죄·브루드·스캐너스(불면의 밤·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혼몽(시네마 스케이프·츠카모토 신야), 광기(불면의 밤·얀 슈반크마이에르)
△환경을 소재로 한 영화
노동자의 죽음(시네마스케이프·미카엘 글라보거), 아시아의 유령(시네마스케이프·아피찻퐁 위라세타쿤), 농부의 초상(시네마스케이프·레이몽 드파르동), 방랑자(인디비전·드니 코테), 북쪽에서 온 이야기(디지털스펙트럼·우루퐁 락사사드), 노 플레이스 노웨어(디지털스펙트럼·호세 루이스 토레스 레이바), 원 웨이 부기우기-27년 후(영화보다 낯선·제임스 베닝)
‘영화제 티켓팅은?’
올 전주국제영화제 입장권은 개·폐막식, 심야상영(전주 불면의 밤) 1만원. 일반 상영작은 각 5,000원. 입장권 예매는 인터넷과 3곳에 설치된 현장 임시 매표소(전주시 고사동 영화의 거리내 동진주차장·메가박스 2층·전북대 문화관(특별))에서 할 수 있다. 인터넷 일반예매는 다음달 4일 자정까지 24시간 이용 가능하다.
올 전주국제영화제 티켓·회원 웹사이트(ticket & 2006 family-family.jiff.or.kr/ticket.jiff.or.kr))의 회원으로 가입해 이용하거나 티켓링크 홈페이지(www.ticketlink.co.kr)를 활용하면 된다. 현장 임시매표소중 동진주차장·메가박스(매일 오전 9시30분∼밤8시30분)의 경우 다음달 5일 오후2시까지 이용 가능하다.
전북대 문화관은 28일부터 오는 30일 자정까지 이용할 수 있다. 입장권 취소·환불은 예매한 방법과 동일하고 당일 상영 영화의 취소나 환불을 할 수 없다. 입장권 예매관련 자세한 사항은 전주국제영화제 사무국(063-288-5433)으로 문의하면 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