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협약 등 국제적인 기후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종합계획수립과 추진기구의 설치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수원환경운동연합 주관으로 28일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자체의 역할과 정책방향 모색 토론회’에서 군포YMCA 박은호 사무총장은 경기도는 에너지 정책 및 효율화 업무를 감당할 수 없는 조직구조로 기본적인 홍보사업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사무총장은 또 “지방정부의 권한과 역할이 강화 및 행정과 예산집행권한이 수반돼야 한다”고 전제한 뒤 “특히 경기도 환경정책과와 환경보전과, 산업정책과 등으로 나뉜 업무를 통합하는 별도의 기구설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수원환경운동연합 이정진 공동의장은 “한국은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1.8%를 차지하고 오는 2013년 이후부터는 온실가스 저감 의무부담을 피해 수 없을 것”이라며 “각종 개발사업과 에너지, 교통체계 등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행위주체인 지자체가 기후변화 완화와 환경적응을 위한 행동계획을 마련,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환경운동연합 김연지 부장은 “지구적 사안인 기후변화의 결과는 결과적으로 지역의 사안으로 귀결된다”며 “지방정부는 건물이나 수송, 폐기물 등 에너지소비부문별로 적용 가능한 조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협성대 정인환 교수, 김정인 중앙대 교수, 경기도 대기관리과 홍웅 사무관 등 에너지 전문가 30여명이 참석했다.
/고영규기자 ygk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