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스타 영화 흥행 보증수표 아니다

톰 크루즈와 같은 슈퍼스타를 출연시키는 것이 영화 흥행의 보증수표라는 할리우드의 믿음이 깨지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28일(현지시간) 크루즈와 파라마운트픽처스의 결별에 대해 분석하면서 이른바 스타시스템을 만들어 낸 할리우드에서는 아직도 슈퍼스타가 흥행 보증수표라는 인식이 강하게 남아있지만 경제학자를 비롯한 학계에서는 이같은 영화사들의 믿음이 잘못된 것이란 견해를 힘을 얻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영화사들이 각 방면에서 아주 뛰어난 실력을 발휘하는 사람, 즉 슈퍼스타가 판을 독차지하는 결과가 나타난다는 '슈퍼스타 경제학' 등을 근거로 슈퍼스타를 영화 흥행 보증수표로 생각하고 있으나 적어도 영화계에서는 슈퍼스타 경제학이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 최근 학계의 연구결과라는 것.

럿거스대학 경제학 교수는 에이브러햄 레이비드는 스타와 성공 사이에 통계적인 상호관계는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지난 1999년에 발표한 자신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레이비드 교수는 1991년부터 1993년 사이에 개봉된 영화 근 200편의 흥행실적 등을 분석한 결과 영화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을 고려할 때 스타의 출연 자체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하버드대학 비즈니스스쿨의 애니타 엘버스 부교수도 슈퍼스타 캐스팅에 대한 발표가 해당 영화의 실적에 영향을 준다 해도 영화사 모기업의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면서 이는 슈퍼스타의 출연이 영화사의 수익창출 능력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스타 영화배우가 영화의 흥행 보증수표라는 생각은 일종의 망상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학계에서는 또한 슈퍼스타가 출연한 영화가 흥행에 성공했을 경우에 대해서도 이는 스타가 흥행에 성공할 만한 영화를 선택하고 영화사도 성공을 기대하는 영화에 스타를 출연시키기 때문이지 슈퍼스타의 출연 때문에 성공한 것은 아니라는 분석까지 내놓고 있다.

어바인 캘리포니아주립대 경제학 명예교수인 아서 드 바니는 "스타가 출연한 영화가 성공하는 것은 스타 때문이 아니라 스타가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영화를 출연작으로 선택하기 때문"이라면서 "스타를 만드는 것은 영화"라고 말했다.

팬들이 인기가수인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콘서트에 가는 것은 그가 나와서 노래하기 때문이지만 영화 매트릭스의 성공은 주연배우인 키아누 리브스 외에 많은 요소가 작용한 결과라는 것.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는 크루즈와 결별을 결정한 파라마운트픽처스의 모회사인 비아콤 섬너 레드스톤 회장이 미쳤다는 주장에 영화업계가 공감을 표시할 수 있겠지만 경제학자들은 크루즈에게 막대한 금액을 투자할 가치가 없다는 철저한 경제논리에 따른 정확한 결단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