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지원 늘렸는데…성적은 제자리 걸음만

<1> 전국체전 2년연속 추락

인천광역시가 제87회 전국체전에서 지난 99년 인천체전 3위 입상 이후, 지난해 11위에서 올해 다시 10위로 2년 연속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백옥자(투포환) 문대성(태권도) 등 세계적인 선수를 배출한 인천시의 자존심이 이대로 무너질 순 없다.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 추진과 더불어 이제부터 대도약의 첫 걸음을 시작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보는 3회에 걸쳐 인천체육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나아갈 길을 제시해 본다./편집자 주

안상수 인천시장은 지난 2002년 시장 부임 이후 ‘스포츠 국제도시 인천’을 주창해 왔고 체육인들은 인천체육의 획기적인 발전을 기대해 왔다.

이같은 기대 속에 실제로 2003년 시민 프로축구단 창설에 이어 올해 구·군민체육대회 부활 등 생활체육과 프로스포츠는 많은 발전을 이뤘으나 유독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 등 스포츠를 통한 국위선양의 선봉에 서는 엘리트체육은 뒷걸음질 쳐 왔다.

실제로 인천시는 지난달 23일 막을 내린 제87회 전국체전에서 10위로 2년 연속 두 자리수 등위에 머물렀다. 최근 10여년간 경쟁상대였던 충남, 경남, 전남은 물론 부산, 대구에도 뒤쳐졌다.

인천의 엘리트 스포츠가 제자리 걸음을 반복하고 있는 것에 대해 시는 누적된 문제점의 근본원인이 체육회 예산부족에 있다는 의견을 수렴, 추경예산을 포함해 시보조금을 2004년 49억6천900만원-2005년 61억2천100만원-2006년 65억6천900만원으로 상향시켰다.

물론 이 같은 지원은 안 시장이 지난해 울산체전에서 “2006년에 20억원의 엘리트 체육예산을 증액, 우수선수 영입과 훈련여건 조성 등 엘리트 체육정책을 재정비하겠다”는 약속에는 다소 부족하다.

하지만 과거 체육예산과 비교하면 지난 2년간 16억원이 증액, 전국의 각 시도 체육회 예산 순위 11위에서 8위로 껑충 뛰어오르며 재정난은 상당히 해소됐다.

그러나 올해 전국체전 시·도별 종합점수 순위 10위(2005년 11위) 결과를 놓고 보면 이같은 예산지원은 경기력에 전혀 효과를 내지 못했다.

오히려 일부 종목은 예산지원 강화 이후 각 경기단체 회장단이 기존의 지원금을 줄이며 경기성적이 크게 떨어지는 역효과도 냈다.

“돈이 없어 우수선수를 타 시·도에 뺏기는 바람에 전국체전 성적이 나쁩니다” 인천시체육회와 지도자들이 지난 10여년간 주장해온 이 말은 이젠 의미가 퇴색돼 버렸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