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근로자 무료진료 경기도 고작 68명 불과

경기도가 지난해부터 실시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무료진료사업이 별다른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회 황선희 의원(한·시흥)은 27일 도립의료원 등에 대한 행정감사에서 “도는 지난 5월부터 도내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14만6천700여명)에 대한 복지정책의 일환으로 9개 분야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무료진료서비스 사업의 경우 수혜자가 거의 없는 등 사업이 겉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황 의원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 말 현재 수원병원(3명), 의정부병원(9명), 파주병원(4명), 안성병원(8명), 포천병원(44명) 등 도립의료원 산하 병원에서 무료진료혜택을 받은 외국인 근로자는 고작 68명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앞서 지난해에는 수원(10명), 의정부(1명), 파주(3명), 안성(1명), 포천(12명) 등 27명이 무료진료를 받는 것에 그쳤다.

이와 함께 도가 한국이주노동자건강협회에 예산을 전액 지원해 추진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 의료지원사업’도 올해 101명, 지난해 26명 등을 지원한 것이 전부다.

이처럼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진료혜택이 적은 이유는 안산(1만6천800여명), 화성(1만3천200여명), 시흥(1만여명), 수원(8천300여명), 용인(8천여명) 등 외국인 근로자 밀집지역에 의료원이 없는데다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들 대다수가 진료받기를 꺼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황 의원은 설명했다.

이에 황 의원은 “외국인근로자 대부분이 동남아시아 출신으로 음식이나 기후가 맞지않아 독감과 위염을 앓게 되지만 우리나라의 의료 시스템이 체계적이지 못해 의료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며 “외국인근로자 종합지원대책과 의료서비스체계를 전면 재검토해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철기자 scp@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