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화가 7월 1일부터 실시된 스크린쿼터 축소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지속, 올해 가장 많은 영화가 제작되는 신기록을 달성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7일 보도했다.
WSJ는 6개월 전 한국 정부가 국산 영화를 의무적으로 상영해야 하는 일수인 스크린쿼터를 147일에서 73일로 축소하자 영화 제작자와 배우들은 할리우드 영화가 자신들을 몰아낼 것으로 우려했지만 올해 개봉된 한국 영화는 작년의 87편 보다 많은 110편에 달하는 기록을 세웠다고 밝혔다.
많은 영화 제작자들과 배우들은 스크린쿼터 축소 결정에 반발했고 일부는 한국의 문화와 창조성에 악영향이 미칠 것을 걱정했으나, 올해 한국영화 제작자들은 관객을 끌어모으는데 전혀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고 WSJ는 평가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100편의 국산 영화가 개봉됐고 박스오피스 점유율도 지난해의 59%에서 70%로 높아졌다.
올해 관객 동원 상위 10편의 영화 중 7편이 '괴물'(The Host)을 비롯한 한국 영화였고, 특히 8월에 개봉된 '괴물'의 경우 1천31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기록을 세워 국민 4명 중 1명 이상이 관람한 셈이라고 WSJ는 소개했다.
한국 영화의 점유율은 10월에는 83%에 달해 월간 기준으로 역대 두번째로 높았으나 11월에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와 '디파티드' 등 2편의 미국 영화가 흥행에 성공하면서 48%로 떨어졌다.
그러나 영화 제작자들은 한번에 너무 많은 국산 영화가 쏟아져 나와 상영 일수를 짧게 만드는 점을 우려하고 있고, 내년에는 개봉될 국산 영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싸이더스FNH의 윤상오 이사는 "영화가 너무 많고, 장기간 상영되지 못하기 때문에 제작 편수가 자연적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