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계 스타 마케팅 효과 있나

최근 톱스타를 내세운 영화들이 잇따라 흥행에 실패하면서 많은 영화 제작자들이 '흥행의 보증수표'처럼 생각하고 있는 스타 마케팅의 효용성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4일 영화계에 따르면 톱스타인 이병헌과 수애를 앞세운 '그해 여름', 다니엘 헤니가 주인공으로 출연한 'Mr.로빈 꼬시기', 한류스타 비와 임수정을 주연으로 캐스팅한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정우성ㆍ김태희를 내세운 '중천' 등이 잇따라 흥행에 실패하면서 국내 영화계에 만연한 스타 마케팅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대두되고 있다.

지난해 11월30일 개봉한 '그해 여름'은 못 이룬 첫사랑의 아련한 아픔을 밀도 깊게 그린 정통 멜로 영화로 한류스타인 이병헌과 수애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기대를 모았으나 30여만 명의 관객만을 끌어모으는 데 그쳐 흥행 참패를 기록했다.

'그해 여름'은 톱스타의 출연도 출연이지만 작품성이나 이야기 구성도 괜찮았던 것을 감안하면 흥행 실패가 다소 의외로 받아들여졌다.

지난달 7일 개봉했던 'Mr.로빈 꼬시기'는 젊은 여성층으로부터 폭발적 인기를 끌고 있는 혼혈 스타 다니엘 헤니의 영화 데뷔작이라는 점에서 화제를 모았으나 70여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데 그치며 손익분기점을 넘는 데 실패했다.

이 영화는 어설픈 설정과 이야기 구성, 한국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자막이 나오는 문제점 등에도 불구하고 다니엘 헤니의 여성관객 흡인력을 지나치게 과신했다가 낭패를 보고 말았다.

역시 지난달 7일 개봉한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는 한류스타 비(정지훈)의 스크린 데뷔작일 뿐 아니라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에 빛나는 박찬욱 감독의 신작으로 관심을 모았으나 최종 스코어는 73만여 명에 불과했다.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는 이후 제57회 베를린영화제 경쟁부문 초청으로 체면을 살리긴 했으나 실험성과 대중성을 어정쩡하게 버무린 듯한 어설픈 내용과 박 감독의 명성을 과신한 듯한 불친절한 구성으로 비판을 받았다.

지난달 21일 개봉한 화제작 '중천'은 톱스타인 정우성과 김태희가 주인공으로 출연했을 뿐 아니라 100억 원이 넘는 제작비가 투입된 대작으로 세간의 화제가 됐으나 2일 현재까지 144만 명의 관객이 관람하는 데 머물러 손익분기점에 한참 못 미치고 있다.

'중천'이 손익분기점을 넘으려면 400만 명 이상의 관객이 들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흥행에는 실패했다는 것이 영화계 내부의 일반적 평가다.

이처럼 '흥행의 보증수표'로 일컬어지는 스타를 앞세운 영화들이 잇따라 흥행에 실패하자 갈수록 몸값이 치솟고 있는 스타 배우들의 효용 가치가 지나치게 과대포장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녀는 괴로워'의 흥행 성공에서 볼 수 있듯 굳이 톱스타가 출연하지는 않더라도 외모 지상주의라든가 성형과 같이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소재를 설득력 있게 영화로 구성하는 기획력이 더욱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영화평론가 심영섭 씨는 "더 이상 관객은 줄거리와 캐릭터 빈곤의 문제점을 그대로 노정하고 있는 작품을 단지 스타가 출연했다는 이유만으로 선호하지는 않는 것 같다"면서 "대중이 관심을 가질 만한 소재를 발굴해 영화화하는 전문적 기획력을 강화해 영화의 완성도를 더욱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