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정조대왕능행차 확대가 불발로 끝난 해프닝은 그 원인이 순전히 도의 독선에 기인한다. 독선은 또 협의 미숙, 재원 미흡, 상급단체 전횡 등 세 가지로 분류된다.
서울시와 원론적 합의만 가졌을 뿐 세부계획의 협의가 결여된 것은 추진력 결함이다. 아마 협의가 세부계획으로 들어가면 이견에 부딪힐 것으로 보아 그랬던 것 같다. 그러나 협의는 이견을 전제한다. 서로 다른 견해를 조정하는 것이 협의의 본질이다. 결국 추진력 결함은 협의 미숙으로 귀납된다.
재원을 기업체의 협찬에 기대한 것은 이도 일종의 준공식부패다. 경비가 자그마치 60억원이 소요되는 걸로 안다. 이를 기업체에 협찬 형식으로 분담시키는 것은 준조세의 가중이다. 구시대가 아닌 이 시대의 정서로는 용인될 수 없는 처사다.
그럼 재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이 역시 범도민적 합의가 전제된다. 물론 정조대왕 능행차 확대는 긍정적 과제다. 하지만 목적을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 건 방법이 아니다. 수단이 나쁘면 좋은 목적도 가치를 떨어뜨린다.
경기도가 이미 13년동안이나 정조대왕능행차 재현을 화성문화제의 주요 행사로 가져온 수원시와 구체적 협의없이 추진한 것은 지방자치에 위배되는 상급단체의 전횡이다. 과천·군포·의왕·화성시와도 연계된다. 이들 자치단체들과도 참여도 제고를 위한 협의가 필수인데도 외면한 것 역시 전횡이다.
서울 창덕궁에서 융릉까지의 능행차 확대는 63.2㎞ 거리고 6박7일 간에 걸쳐 실시된다. 이 기간내, 이 구간의 교통소통 문제가 큰 문제다. 이의 충분한 대책을 위한 사전 협의를 위해서는 경기지방경찰청과 미리 가져야할 논의를 생략한것 또한 도의 실책이다.
경기도가 이처럼 숱한 계획 결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계획수립이 다 된 것 처럼 발표한 것은 다분히 정치적이란 비난을 들어 마땅하다.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정치적 보폭의 외연 확대를 노린 전시성이 아니냐는 의문의 시각이 이래서 나온다. 정조대왕능행차 확대는 결국 내년 과제로 넘겨졌다. 그러나 위에 밝힌 문제점을 시정하지 않으면 내년에도 안 된다.
능행차의 주제는 효행과 민생이다.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효심과 아울러 민정을 살피는 것이 행차의 목적이었다. /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