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도층의 감정노동

이 인 권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대표
기자페이지

우리나라의 계층·세대·지역·영역간 등 모든 사회 구성의 현장에서 갈등들이 존재한다. 이는 비단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인간이 사는 공동체에는 어디나 있게 마련이지만 우리나라처럼 심한 경우도 많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갈등은 한국인의 행복지수가 생각보다 아주 하위에 처져있다는 점에서도 방증이 된다.

행복이 물질·정신적 만족의 결정체라고 한다면 우리의 삶이 과거 70~80년대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윤택해졌지만 아직 행복의 기준에서 미흡하다는 아이러니다.

이런 구조 속에서 우리의 GNP가 지금보다 더 높아지게 되면 행복의 지수가 높아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든다. 경제수준이 높아지면 높아진 만큼 그 단계에서의 또 다른 갈등과 분열 등이 있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하게 된다.

소통과 협력의 가치 중요

우리사회의 이 모든 문제의 중심에 결국 ‘소통과 포용’이 부족함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말하자면, 진정한 의미의 커뮤니케이션과 네트워킹의 사회적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를 우리는 그저 ‘의사의 전달과 사회적 연결고리 맺기’의 의미 정도로 인식하지만, 그 두 개의 가치에는 ‘정서의 소통과 공유, 그리고 상생의 협력’이라는 본래의 깊은 뜻이 있다.

그럼에도 우리사회는 각 부문에서 주관적 논리와 자의적 명분의 잣대로 재단하려는 ‘정치적’ 구조 체계를 갖고 있는 것이다. 모든 부문에서 말로는 소통과 협력을 쉽게 운위하지만 생각과 행동의 기초가 되는 사회문화가 정착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런 사회문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사회를 이끌어가는 지도층에게 무엇보다 먼저 ‘감정노동(Emotional Labour)’의 가치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감정노동이란 지난 1983년 미국 버클리대 러셀 혹스차일드 교수가 직업상 원래의 모든 감정을 다 표현해 내지 않고 얼굴 표정과 행동을 해야 하는 상황을 표현한 개념이었다.

대부분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에서 가져야 할 표정과 몸짓의 노동성을 두고 한 개념이었지만 주위에 보면 우리 사회의 각 분야 직업 대부분이 고강도의 감정노동을 요구받고 있다.

‘섬기는 리더십’ 실천 필요

이제 이러한 감정노동은 이른바 대민 권한과 영향력이 막중한 정치인, 공직자, 기업가, 학자, 전문가 등과 같이 사회 지도층에게 필요해지고 있다. 그들의 언행은 바로 사회적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정치인이나 공직자와 같이 국가의 권한과 권력을 갖는 사회 주도그룹일수록 더더욱 감성의 공유와 상생의 협력을 실천하는 모범을 보이면서 감정노동의 가치를 인식해야 한다.

백화점에서 손님을 모시는 안내요원이나 패스트푸드점에서 상냥한 미소를 지으며 주문을 받는 도우미들에게만 적용되는 게 감정노동이 아니다. 어떻게 보면 지금 우리사회에서 지도자들에게 더욱 감정노동이 필요한지도 모른다. 이것을 우리는 ‘섬기는 리더십(Servant Leadership)’ 이라고 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감정노동은 각 부문의 기층 구성원들에게만 요구되는 게 아니라 사회 각 분야에서 조직을 거느리고 이끌어가는 리더들이라면 모두에게 적용되는 사회통합과 발전의 중요한 가치이다.

/이 인 권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대표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