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령부와 기무부대가 이천시로의 이전과 관련된 국방부 발표가 기정사실화되면서 이천 시민들은 뒤통수를 맞은듯 술렁이고 있다.
지난 1년여동안 지역 최대 기업인 하이닉스 공장 증설을 위한 시민투쟁을 펼쳐오다 환경부의 요지부동한 자세로 패배감에 젖어있는 상황이어서 더욱 그렇다.
환경부의 주장대로 수도권에 위치한 위성도시로서 각종 환경오염을 용납할 수 없다는 명분이 하루에 오수 800t, 연간 폐기물 1천t 등이 발생하는 부대 이전을 이천시와 아무런 협의도 없이 아무렇지도 않게 결정해 발표한 건 폭거에 가깝다는 것이다.
조병돈 시장과 이천시의회의 즉각적인 반대성명과 규탄대회도 이러한 시민들의 정서를 잘 대변해 주고있다. 이천 시민들을 국방부 규탄집회와 반대집회 등으로 거리로 내몰 것 같은 불안감이 엄습하고 있는 분위기다.
평택 대추리의 예에서 보듯 대한민국이 아직도 휴전 중인 분단국가라는 현실에서 국방부의 국가안보차원의 부대 이전결정을 과연 번복시킬 수 있느냐는 자괴감이 시민들 사이에 일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국방부는 6천700여명의 인구 증가(이천 인구의 3.5%)와 각종 지방세를 계산해 오는 2030년까지 1조원의 경제효과와 1조2천억원의 이전비용으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국방부가 이전부지로 발표한 지역은 웅진어린이생태공원 등 이미 이천시에 유익한 각종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고 예로부터 명당으로 유명한 곳으로 이천 시내와 근접해 부대부지로 적합한가 하는 의문이 든다.
이왕지사 양측은 현명한 협의를 통해 적당한 부지 선정과 이천시의 경제적 성장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강구해 시민들에게 제시해 주길 기대한다.
/김태철 kimtc@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