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 양평읍 종합훈련장의 총탄과 포탄 등이 주민들의 안전을 위협한 사건(본보 2일자 6면)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지난 94년 용천리 사나사계곡 주차장에 전차 조명탄피가 날아드는가 하면 지난 96년과 98년 6월 사격장 인근 민가 앞마당과 텃밭에 탄두와 파편 등이 떨어졌고 지난해 가을 한 민가, 지난 2001년 11월 옥천면 한 음식점 등지에도 전차포 파편이 처마를 관통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잊을만하면 도비탄이 민가에 날아들고 툭하면 산불의 원인이 되고 있다.
민가에 떨어진 사례가 이처럼 많을진데, 주민의 눈에 확인되지 않는 농경지나 들에 떨어지는 도비탄은또한 얼마나 될 것인가. 국방부 반대에 부딪쳐 지난 2001년 군의 숙원사업이었던 염광대학 유치의 꿈이 수포로 돌아간 적도 있다. 당시 양평 사회단체 및 주민들은 용문산종합훈련장 저지를 위한 범군민위원회(위원장 김학조)를 구성, 훈련장의 이전을 촉구했지만 현재까지도 늘 메아리로만 남아있다.
현재의 종합훈련장은 양평군 소유의 땅이다. 1970년대 군사정권시절 안보논리에 의해 171㏊ 부지를 국방부 종합훈련사격장으로 무상 임대해 준 땅으로 지난 97년 주민들의 반대로 대부기간 연장이 불허된 엄연한 군유지다. 정부의 안보와 공공성이 크다 하지만, 재산권행사 조차도 감히 엄두를 못내도록 토지주를 윽박질러 놓고 버젓이 주인행세를 하며 양평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양평의 심장부인 용문산 줄기에 30여년이 지나도록 포탄을 쏘아댄 국방부는 ‘투쟁’이라는 울분 속에 더이상 순박한 주민들을 거리로 내몰지 않길 바란다. 10년째 임대료 한푼 내지 않은 국방부는 이에 대해 합리적으로 보상해야 하고 장기적인 이전계획을 세워야 한다. 저높은 종합훈련장은 눈이 쌓인 한 겨울 도시민들에겐 스키장의 슬로프처럼 느껴질지 모르지만 양평 주민들은 수십년동안 한이 돼 눈 내린 절망의 모습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조한민 hmch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