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권·통학권 무시한 ‘배짱 공사’

소하택지개발이 추진되면서 인근에 위치한 소하초등학교를 비롯,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권과 통학권을 무시한 공사로 학부모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처음에는 학교 입구 쪽에 대형 덤프트럭의 진·출입로를 만들어 학생들의 안전을 위협, 학부모들의 반발을 사더니 최근에는 학교와 불과 80~100m 떨어진 곳에 상업용지를 선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런데도 정작 강력한 제재와 대책을 세워야 할 광명시와 광명교육청 등은 태평하다 못해 오히려 한심스러운 행태를 보이고 있다.

광명교육청은 “학교보건법이 있기 때문에 강력히 통제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철산상업지구의 경우 인근에 광덕초등학교가 있지만 상대정화구역에 포함된 업소 주인들의 반발과 행정소송 등으로 벌써 노래방, PC방, 여관 등이 잔뜩 들어서 있다.

이같은 현실을 지켜 보면서 어떻게 소하택지개발 상업용지는 안전하다고 주장할 수 있는가?

결국 통제하겠다는 광명교육청의 주장은 현실을 모면하기 위한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한곳이 들어서면 학생들의 교육을 위협하는 업소들이 밀물듯이 들어설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시는 백년대계인 교육에 힘을 쏟겠다고 공언했다.

그런데 학교 근처에 상업용지가 들어서면 생길 심각성조차 모르고 태연한 것을 보면, 과연 어떻게 한단계 업그레이드된 교육을 만들겠다고 주장하는지 모르겠다.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아니 전국에서도 유일하게 32만명 인구규모인 도시 중 전문대조차 없는 곳은 광명이 유일하다. 그렇다면 광명시와 광명교육청 등은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 것이다.

/배종석 ba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