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영화> 정체성 찾아 헤매는 '개와 늑대…'

전수일 감독의 영화 '개와 늑대 사이의 시간'은 평단의 호평을 받았던 전작 '내 안에 우는 바람'(1997)과 '새는 폐곡선을 그린다'(1999)에 이은 '시간의 3부작'의 마지막 작품이다.

부산에서 활동하는 영화감독 김(안일강)은 은행의 빚 독촉과 짜증 나는 일상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고향 속초로 떠난다. 겉으로 보이는 여행의 목적은 6ㆍ25 전쟁 때 헤어진 숙부를 찾는 숙모를 돕는 것.

속초로 향하는 버스와 민박집에서 김은 영화(김선재)를 우연히 연거푸 만나게 되고 어린 시절 잃어버린 여동생을 찾는 그녀의 여정에 무작정 합류한다. 김과 영화는 폐광촌을 함께 떠돌아다닌다.

이들은 폐광촌에서 하룻밤을 같이 지낸 뒤 헤어지고 김은 부산으로 돌아가지만 곧 숙모의 부고를 듣고 다시 속초로 향한다. 그는 이번에는 속초에서 자신의 어린 시절 흔적을 찾아 나선다.

제목 '개와 늑대 사이의 시간'은 해가 질 무렵 저 멀리 보이는 짐승이 개인지 늑대인지 분간할 수 없는 불분명한 시점을 가리킨다. 이 영화는 결국 찾지 못할 것을 찾아 헤매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영화는 동생을 찾아 떠돌지만 동생의 흔적은 오로지 영화의 기억 속에만 있을 뿐이다. 김은 옛 자취에 대한 실마리를 잡지 못한 채 오히려 술에 취해 낯선 사람을 붙잡고 "제가 어디에 살았는지 아세요?"라고 묻는다.

이들이 찾는 것은 동생과 옛 집일 뿐만 아니라 자아와 정체성이다. 실향민으로 가득한 속초와 허물어진 폐광촌을 떠도는 이들의 등에는 개인적인 상처뿐 아니라 분단의 아픔과 고향 잃은 설움까지 지어져 있다.

로드 무비답게 화면은 거리를 방황하지만 오래된 흑백 필름같이 고즈넉하기도 하다. 김과 영화가 헤매고 다니는 폐광촌과 길거리는 밤낮에 따라 황폐하기도, 아름답기도 하고 새하얀 눈밭은 적막한 동시에 눈부시다.

애초에 상업성에 등을 돌린 이 영화는 이해와 사유를 고스란히 관객의 몫으로 남긴다. 여기에 영화의 장점과 단점이 함께 있다. 주인공들이 하염없이 헤매고 다니는 길에 시선을 맞추다 보면 관객은 멀미가 날 수도 있다. "지들이 알기나 해요, 예술이 뭔지?"란 영화 속 김의 대사가 왠지 귀에 박힌다.

이 영화는 2005년 완성돼 2년 만인 21일 개봉된다. 서울 씨네코아와 광주 광주극장, 부산 국도극장 세 곳에서만 볼 수 있다. 15세 이상 관람가.

/연합뉴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