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못한‘ 반값 아파트’ 대응의지 유감

요즘 군포지역 민심이 흉흉하다. 정부가 부곡지구에 반값 아파트를 만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많은 임대아파트들로 인해 재산가치가 떨어지고 도시이미지가 저평가됐다는 게 지역 여론이었다.

군포경실련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분당·일산·평촌 등 신도시 5곳 가운데 임대아파트 비율이 군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촌보단 6.9배가 많다.

가히 주민들이 화들짝 놀라는 이유다. 부곡택지에 들어서는 ‘반값’은 모두 2천800세대 중 804세대에 불과하지만 그 추진과정이 마뜩찮다. 당사자인 군포시와 일언반구 협의 없이 일방으로 밀어붙인 탓이다. 그러니 주민들이 “‘군포임대시’로 바꾸자”라거나 “시청이 있어야 할 이유가 있는가”라는 막말마저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주민들이 가위 눌리는데엔 군포시도 한몫 거들었다. 지난 5월22일 건설교통부로부터 처음 통보를 받고 2차 회의때까지 1개월 동안 제대로 된 목소리를 한번도 내지 못했다. 지난 11일 건설교통부의 최종 발표가 있은 뒤 주민들의 질타가 이어지자 엊그제 “반값 아파트 결정을 철회해달라”는 공문을 덜렁 보낸 게 고작이다.

해당 부서의 반응은 더욱 가관이다. 언론에서 자꾸 ‘반값’을 들먹이다 보니 주민들의 걱정처럼 아파트값 하락이 현실화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잠자코 있는 게 상책이란 조언(?)이다. 지난 25일 건설교통부에 보냈다는 공문은 아예 공개를 꺼렸다.

군포 발전을 위한 주택정책은 주민들의 공론을 거쳐 실행하는 게 마땅하다. 더구나 반대의견들이 흉흉거리는 ‘반값’이야말로 지역여론에 더욱 귀를 기울여 공식입장을 당당히 밝히는 게 순리 아닌가.

한 시민단체는 “한 도시에 임대주택들이 편중 건설되면 도시슬럼화 등 각종 사회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값 아파트’보다는 마지못해 ‘반값 대응’에 의지하는 군포시가 걱정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