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가 문화예술계의 총체적 발전을 위해 구각(舊殼)을 벗어 던졌다.(본보 15일자 6면) 시는 최근 지역의 모든 문화예술 단체에 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기존 조례를 전면 수정했다.
이제 시민들의 의견 수렴을 거친 최종안이 군포시의회를 통과하면 내년부터 시행이 가능해진다. 문예발전의 분수령이 될 공이 군포시의회로 넘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동안 군포시는 군포예총의 예산 지원 요청을 제대로 귀담아 듣지 않았다. 군포문화원에만 지원할 수 있도록 규정한 지방문화원진흥법만을 앞세웠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다른 지방자치단체는 문화예술진흥법을 모법으로 각 지역 예총과 문화원 등을 포함한 문화예술계에 예산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군포와 구리만 구법을 택했던 것이다. 만시지탄의 감을 뒤로 하고 문화예술계가 쌍수로 환영하는 이유다.
물론 예총과 문화원의 역할과 규모는 각 시·군들마다 제각각 다르다. 하지만 군포문화원은 산하 활동인원이 220여명인 반면 군포예총은 2천400여명으로 10배가 넘는다. 문화원 고유영역인 지역의 전통문화 발전과 계승, 홍보활동 등에도 예술계를 망라한 예총이 함께하면 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 7년 동안 문화에만 2억7천만원 가까운 예산이 지원됐다. 예산이 갈리면 문화원이 그간 추진한 사업의 연속성에 상처를 입을 수도 있다. 하지만 대승적, 장기적 견지에서 군포시의 이번 조치는 문예발전의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앞으로는 예술문화의 쌍두마차인 두 단체가 각자의 영역에서 문예발전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하는데 얼마나 화합하고 열정을 쏟을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거리가 될 것이다. 낡은 껍질을 과감히 털어낸 군포시의 변신이 도로(徒勞)에 그치지 않길 바란다.
/이 정 탁jt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