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청 정문이 오랜만에 활짝 열렸다. 지난 11일 화정·주엽역 앞 노점상들을 단속하면서 촉발된 격렬한 시위가 2주일만에 주춤해졌기 때문이다. 전노련이 가세해 격렬한 시위로 몸살을 앓았던 고양시청 앞 도로도 평화로운 모습이다.
그러나 평화로운 광경이 얼마나 지속될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고양시와 전노련의 시각이 너무나 상반되기 때문이다. 고양시는 그동안 줄기차게 생계형 노점상들은 보호하겠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주장해 왔다. 이를 위해 노점상들에 대한 실태 파악에 협조해줄 것을 전노련에 전달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전노련은 노점상들에 대한 실태파악 자체가 잘못됐다는 입장이다. 고양시가 조사를 마친 후 이를 근거로 노점상들에 대한 단속의 자료로 사용한다는 의구심 때문이다. 더 나아가 고소·고발에 이를 사용한다며 실태 조사에 응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이로인해 고양시와 노점상을 이끌고 있는 전노련과의 대화가 매끄럽지 않게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도 고양시는 생계형 노점상들을 위해 일정 구역은 설정한다는 것이다. 이와 병행, 살기 좋고 아름다운 도시 미관을 만들기 위해 무분별한 노점상들은 지속적으로 단속하겠다는 강력한 태도다. 특히 기업형 노점상들은 엄연히 구분, 철저하게 단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생계형 노점상들을 보호하기 위한 실태조사에 응하라는 고양시. 이는 노점상들을 단속하는 자료로 이용한다며 믿지 못하는 전노련. 이처럼 첨예하게 대립하며 서로를 신뢰하지 못하는 게 작금의 현실이다.
그러나 생계형 노점상들을 배려하겠다는 고양시의 입장이 설득력을 얻어 가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생계를 위한 노점상들을 배려한다는 고양시의 입장에 반대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돌팔매와 온갖 욕설들이 오가는 격렬한 시위로 얻어지는 게 과연 무엇인지 묻고 싶다. 조금씩 양보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