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 간 통합지도’ 종합·창의적 사고력 키워
국어 교사가 수업을 하다가 영어 단어를 발음하거나 수학 문제를 풀면 학생들은 ‘와’하며 놀란다. 국어 교사는 국어만 잘 가르치는 줄 알았는데 영어나 수학 교과의 내용까지 안다는 것에 놀라는 것이다. 대학교 정규 교육과정을 거친 사람으로서 당연한 일인데도 아이들은 그 사실을 종종 잊곤 한다.
사실 아이들은 이미 초등학교 때 담임 교사가 여러 교과를 가르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러다가 중학교, 고등학교로 올라오며 교과의 내용이 심화되면서 각 교과의 전공 교사로부터 수업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각 교과를 개별적으로 생각하게 되어 교과간의 통합을 생각하지 못하게 되었다. 시험도 각 교과별로 치루다 보니 국어 시간에 사회나 과학을 생각할 일이 없어졌으며, 오히려 그런 생각은 그 수업에 집중하는데 방해만 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각 교과의 내용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를 유기적으로 활용하면 각 교과의 내용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과를 넘어서는 종합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학 시간에 배우는 박지원의 ‘허생전’을 통해서 오늘날의 경제 문제를 떠올릴 수 있으며, 고려 가요 ‘청산별곡’을 배우면서 국사 시간에 배운 지식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논술 시험에는 하나의 주제에 대한 여러 개의 제시문이 출제되는데, 고전(古典), 시(詩), 소설, 그림, 노래 가사를 비롯하여 다양한 교과서에서 발췌된다. 특히 통합교과에서 강조하는 것이 이러한 교과 간의 통합이다. 하나의 주제를 단지 한 교과가 아니라 여러 교과의 관점을 통해서 바라보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교과 간의 통합적인 내용을 어떻게 지도하면 될까? 예를 들어 ‘황사’를 주제로 수업을 한다고 하자. 그러면 우선 학생들에게 교과서를 전부 꺼내도록 하여 ‘황사’와 관련 있는 내용을 모두 찾도록 한다. 이 때 학생 혼자서 할 수도 있지만 분량이 많으므로 모둠별로 하는 것이 좋다. 모둠별로 교과서를 나누어서 하면 짧은 시간에 관련된 내용을 금세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발췌한 내용을 모두 모둠별 발표지에 적고 이를 분석하도록 한다. 분명 교과의 특성상 그 주제를 바라보는 관점이나 방식이 다를 것이다. 학생들은 이러한 교과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그 주제에 대한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다. 그리고 분석한 내용을 적은 모둠별 발표지를 복사해서 학생들에게 모두 나누어 준 후에 모둠별로 발표하도록 한다. 이 때 학생들은 다른 모둠의 발표 내용과 자기 모둠의 분석 내용에 대한 비교 및 질의응답을 통해서 비판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다.
◇ ‘황사’와 관련된 교과서 내용 예시
- 사뺖뺖회:Ⅳ. 환경문제와 지역문제. 1. 환경 문제의 확산.
(3) 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와 대책
- 세계지리:Ⅵ. 세계의 과제. 1. 환경 문제. (2) 세계적인 규모의 환경 문제
- 사회문화:Ⅴ. 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 2. 현대 사회 문제와 대책.
(7) 우리의 환경, 하나뿐인 지구
- 시민윤리:Ⅱ. 현대 사회 문제와 시민 윤리. 1. 생명 존중과 환경 윤리.
(2) 환경과 윤리
- 문뺖뺖학:토실을 허문 데 대한 설(이규보)
실제로 여러 개의 교과서를 이용해 수업을 해보니 학생들 모두 깜짝 놀랐었다. 자신들이 배운 내용이 이렇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몰랐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학생만이 아니라 교사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가르치는 교과서가 아닌 다른 교과서의 내용을 볼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교사나 학생 모두 하나의 교과서가 아니라 여러 개의 교과서를 두루 살펴야 한다. 교사는 다른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토대로 그 교과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시킬 수 있으며, 학생들은 교과 간의 지식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수업 시간에 여러 개의 교과서를 펼쳐놓고 수업을 진행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각 교과 간에 관련되어 있는 주제를 씨줄과 날줄로 섬세하게 조직하여 나간다면, 세상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과 시각은 보다 큰 깊이와 넓은 폭을 갖게
/이세영 수성고 교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