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당선자는 내년 2월 말 취임 직후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4강을 방문하는 등 글로벌 코리아 외교의 본격 행보에 나선다.
이동관 대통령직인수위 대변인은 30일 오전 전날 저녁에 열린 인수위 워크숍 브리핑을 통해 “내년 한 해 당선자는 미·일·중·러 등 4강 방문, G-8 정상회담 초청회의 참석(7월 일본), 8월 북경올림픽, 9월 유엔총회, 10월 ASEM(아시아·유럽 정상회의), 11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12월 아세안(ASEAN)+3 회의 참석 등 거의 매달 외교 행보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인수위) 참석자들은 글로벌 코리아 외교를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과 국격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찬스”라면서, “인수·인계 과정에서 관련 프로그램을 만들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획조정분과 박형준 의원은 워크숍에서 ‘이명박 정부의 국정철학 기조’에 대한 발제를 통해 대한민국의 현대사는 건국과 산업화, 민주화의 단계를 넘어선 ‘발전의 역사’라고 긍정 평가하고, 이명박 정부의 의의는 건국과 산업화, 민주화의 에너지를 발전적으로 계승, 대한민국을 세계일류국가로 만드는 선진화의 출발점이라는 데 있다고 규정했다. 박 위원은 또한 이것이 1987년 체제의 틀을 뛰어넘어 2008년 신발전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열린 토론에서 위원들은 우리가 선진화 단계로 가야하는 이유는 산업화와 민주화가 완성됐기 때문이 아니라 산업화와 민주화의 진정한 완성을 위한 것이라 데 의견을 같이했다. 선진화를 향한 2008년 신발전체제는 후보시절 이명박 당선자가 지속적으로 역설해 온 것으로 ▲경제와 ‘삶의 질’ 선진화 ▲국가주도형 발전에서 민간주도형 발전으로 발전 모델 전환 ▲성장의 혜택이 중산층과 서민에게 돌아가는 체제 등이 골자다.
/김재민기자 jmki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