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포상금 재검토해야”

도내 체육계 “선수들 사이 위화감… 팀 지원으로 전환을”

경기도체육회가 동·하계 전국체전 입상자에 대한 포상금을 대폭 인상한 가운데 도내 체육계 일각에서는 학생선수에 대한 시상문제를 비롯, 과도한 포상금 지급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게 일고있다.

도체육회는 지난 2월 열린 제89회 전국동계체전에서 사상 첫 종합우승 7연패를 달성한 메달리스트들에 대한 포상금을 대폭 인상하라는 김문수 도지사의 지시로 고등·대학·일반부 선수에게 금메달이 20만원에서 80만원 인상된 100만원, 은메달은 20만원에서 50만원, 동메달은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 조정해 지급했다.

이와 함께 지난 해까지 6연패를 달성한 하계 전국체전도 동계체전과 동일하게 적용키로 하는 한편, 동계체전 초·중교 메달리스트에 대해서는 전국소년체전과 같이 금메달 50만원, 은메달 20만원, 동메달 10만원이 지급된다.

그러나 도내 체육계 인사들과 일선 학교 감독들은 학생 선수들에게 과다한 포상금을 지급하는 것은 교육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할뿐 아니라 선수들간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데서 포상제도가 개선돼야 한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 Y모 교사는 “각급 학교 대부분이 운동부 운영 예산이 부족해 학부모들이 상당액을 부담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선수들에게 거액의 포상금을 직접 지급하는 것은 부정적 측면이 많다”며 “선수 포상금을 입상 선수를 배출한 학교 팀에 대한 지원으로 바꿔 팀 운영에 보탬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포상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체육계 인사들은 선수 개인에 대한 일시적인 거액의 포상보다는 연간 16억2천만여원(하계 13억3천만원, 동계 2억9천만원)에 달하는 동·하계 전국체전 시상금과 8억4천만원의 우수선수 육성지원금 등 총 24억6천만원의 포괄적인 보상금을 학교팀 지원, 우수선수 육성금 등으로 지급하는 것이 도 체육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경기도를 빛낸 우수선수에 대한 포상도 필요하지만 이 처럼 파격적인 포상제도가 경기체육 발전을 위한 ‘약’이 될지, 아니면 ‘독’이 될지에 대해 신중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황선학기자 hwangp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