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상승과 극심한 가뭄으로 나무들이 30년 전보다 2배 이상 빠른 속도로 죽어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힘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1955년부터 축적된 미국과 캐나다 지역의 삼림 데이터를 바탕으로 과학자들이 분석한 결과다.
76개 숲에서 자라는 나무들의 사망률이 평균 87%나 치솟았다. 일부 지역은 17년 만에 사망률이 2배 이상 증가하기도 했다. 오래전부터 온대성 삼림지역이 형성된 미국과 캐나다 서부 지역은 지난 수년간 평균 기온이 1도 이상 폭등하면서 피해가 컸다. 1도 상승은 별것 아닌 듯 싶지만 강수량 감소의 원인이 되고 겨울철 해빙을 촉진해 여름철 가뭄기간을 늘리는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기온상승과 가뭄이 수십 년간 반복돼 나무들이 왜소해져 전반적으로 산불에 취약해졌다. 병충해에도 급격히 저항력을 잃었다. 기온상승은 해충 번식도 늘려 수목의 크기와 종류에 상관없이 사망률을 급격히 높혔다. 나무들의 사망률이 치솟으면서 작은 수목들만 남게 되자 이산화탄소 흡수량도 줄어들어 기온상승을 가속화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캐나다의 브리티시 콜롬비아주와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삼림은 물론 고산지대인 콜로라도주 북서부의 거대한 소나무 숲도 이미 심각하게 파괴됐다. 이렇게 나무들이 죽어가는 현상은 물론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가 주원인이다.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산들이 무너져 내리는 우리나라는 특히 예외가 아니다. 나무를 심어야 한다. 농사를 짓지 않고 방치된 한계농지 등 노는 땅, 집주변 빈터, 울타리 주변, 자투리땅에도 나무를 심어야 한다.
경기농림진흥재단이 올해 ‘내집 내 직장 나무심기 운동’을 펼쳐 100만그루의 나무를 심고 있는 것은 대표적인 나무심기 사업이다. ‘그린 팩토리(녹색 공장) 만들기 운동’, ‘G가든쇼’ 사업도 기대가 크다. 우리나라는 ‘교토 기후변화 협약’에 따라 2013년 탄소 감축 의무국이 될 수 있다. 탄소 흡수량이 침엽수에 비해 1.5배 이상 많은 활엽수를 많이 심어야 한다.
/임병호 논설위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