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여야 초당적 협력을”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기자페이지
이 대통령, 3당 대표와 회동… “PSI 적극 검토”

이명박 대통령은 6일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관계없이 원래 대량파괴무기(WMD) 확산 및 테러 방지 등 국제협력 차원에서 검토 해 온 사안”이라며 “이 문제는 우리의 자체적인 판단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 민주당 정세균 대표,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 등 여·야 3당 대표와 조찬 회동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고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을 당부했다고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처럼 경제, 안보 등 국가 현안과 관련된 사안을 앞으로도 초당적으로 협력해 줬으면 좋겠다”며 “오늘 모임이 초당적 협력의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나는 강경주의자가 아니다”며 “남북 모두에 도움이 되는 실용주의적 입장에서 북한 문제를 다루자는 것인데, 무엇보다 남북관계가 정상화돼야 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문제와 관련, 여야 모두 ‘잘못된 행동’이라는 원칙에는 공감대를 이뤘지만 향후 대응책 등 각론에서는 이견을 보였다.

이회창 총재는 “탄도미사일 발사에 관한 것은 정부뿐 아니라 여야, 좌우 없이 온 국민이 일치해서 분명하게 반대하고 다시 재시도를 하지 않도록 강한 의지와 신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총재는 “무엇보다 유엔 제재의 결의 없이 지나가게 되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기정사실화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며 “우리 국민들이 강한 의지와 신념을 가지고 이를 규탄하는 동시에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가 반드시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정세균 대표는 “조금 더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 북한과의 갈등을 늘리는 것보다 상황을 잘 관리하는게 필요하다”며 “이명박 정권이 시작하고 나서 대북관계는 전면적으로 실패했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PSI 문제를 비롯해 앞으로 남북문제에 있어서 우리 정부가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야 하지 않겠나”며 “PSI 자체가 특별한 조치가 아닌데 지금 전면확대를 함으로써 북한을 자극하면서 강경책으로 나가는 것은 좋지않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이동관 대변인은 “오늘 회동에서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적극 참여해야 한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신중해야 한다’고 말하는 등 온도 차이가 있었다”며 “이 대통령의 발언은 북한이 발사를 했다고 해서 바로 참여하고 안했다고 해서 늦출 사안이 아니라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