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창업과 투자 활성화를 위해 각종 규제를 2년간 유예한다는 이례적인 정책을 발표하면서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창업을 활성화 하고 있다. 규제를 유예함으로써 창업과 투자활성화를 이끌어내고 일자리 창출 등 경제활성화를 통해 서민의 어려움을 해소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경제불황으로 창업에 뛰어드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지만 소규모 창업이나 여성의 창업은 차이점이 있다. 사업 목적이 돈을 벌기 보다는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여성경제인협회에서 추진하는 여성가장 창업지원사업이 그러하다. 저소득 여성 가장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이 생계형 창업 지원사업은 사실상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여성들에게는 생명과도 같은 지원책이 아닐 수 없다.
생계형이라는 말이 대변해 주듯 이를 신청하는 여성들의 생활도 다양하다.
어떤 이는 배우자와 사별했거나 이혼으로 인해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기도 했고, 또 어떤 이는 배우자가 심신장애를 겪고 있어 가장 노릇을 해야 하는 처지에 내몰리기도 했다.
중소기업청이 지난해 전국 7천여개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소상공인 창업자 가운데 80%가 이러한 생계형 창업자였다. 이들 모두는 창업이 생계를 위한 최후의 수단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사업에 뛰어드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창업에서는 어떤 실수가 발생했을 경우 일반인들 보다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
여기서 생각해 봐야 할 것은 생계형 창업에 뛰어드는 사람들에게는 실패하지 않기 위해 몇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우선 창업으로 인해 기본적인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아이템 선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철저한 시장조사와 상권분석 등 전문가 못지 않은 노력이 요구된다. 또 기존 창업자들은 장사가 안되는 이유를 내부에서 찾을 수 있는 자기반성 능력도 빼 놓을 수 없는 요소다. 불황에도 생존하는 기업들은 특히 이런 면에서 뛰어나다.
최근 중소기업청과 한국여성경제인협회가 여성기업과 여성 창업 활성화와 불황기 여성기업의 판매 채널 다변화를 위해 추진하는 ‘여성기업 온라인 마케팅 사업’ 역시 다양한 면을 살펴 틈새시장을 노려보자는 취지가 크다.
이같은 점들도 중요하지만 이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은 창업이 얼마나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느냐는 문제다.
정부가 창업 활성화를 위해 대대적인 지원을 펼치는 것도 창업을 통해 경제활성화를 이끌어내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의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창업에 뛰어드는 사람들은 자신만의 영위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에도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창업자들은 창업을 통해 돈을 벌고, 성공하기를 바라지만 사회 공헌에 대한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돈을 버는 만큼 투자를 늘리고, 일자리를 늘리는 등의 노력이 필수적으로 수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창업은 단순한 작업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해야 하며 창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들 역시 이제는 사회적인 역할과 책임에 공감할 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