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火)는 화(禍)다. 몹시 못마땅하거나 언짢아서 내는 성이 화다. 하지만 참는 끝은 있어도 성낸 끝은 없다. 화를 내면 해(害)가 돌아와 화를 입는다.
대체로 성질머리가 급한 사람이 화를 잘 낸다. 우리나라 사람은 대개 성질이 급하다. 나도 성질이 급해 화를 잘내곤 했다. 참질 못했다. 그런데 살다보니 그게 아니다. 성질을 부리고 나면 사람을 잃는다. 친구를 잃게 된다. 상대가 아무리 잘 못하고, 또 화를 낸 것이 꼭 나쁜 의도가 아닐지라도, 당하는 상대는 기분이 좋을리 만무하다.
그럴 땐 신경질이 나도 좋게 타이르는 것이 순리다. 흔히 “성질은 급해도 뒷끝은 없다”고들 말한다. 뒷끝은 없으니 화를 내도 이해해달라는 뜻의 이 말은 참으로 이기적이다. 상대에게 스트레스를 줄대로 주고는 이해하라는 건 말이 안된다. 무책임한 소리다.
나의 경험에 의하면 특히 아랫 사람에게 화를 내는 것은 정말 모양같지 않을 때가 많았다. 한참 성질을 부리다가 문득 자신이 경솔하고 천박스럽다는 생각이 들곤 했다. 화는 위엄이 될 수 없다. 화를 내는 모습은 내가 생각해도 어른답지가 않다.
화를 자주 내는 것도 습관이다. 즉, 참을 줄 모르는 것은 버릇인 것이다. 습관은 버릇 들이기에 달렸다. 화를 잘 내는 사람은 화가 또 화를 불러내곤 한다.
그런데 화를 잘 내는 사람치고 진짜 화를 내야할 장합에서는 화를 안내는 사람이 있다. 사람이 살다보면 화를 내야 할 때가 아주 없진 않다. 한데, 평소에는 화를 잘 내던 사람이 정말로 화를 낼 자리에서는 아뭇 소릴 않는 것을 더러 보는 것은 비열한 침묵의 타협인 것이다.
그러나 가정이나 직장이나 사회생활에서 대체로 화를 내기보단 화를 참다보면 마음이 편해진다. 참기를 잘 했다고 생각될 때가 많다. 그러다 보면 행복한 마음이 든다. 화낼 일이 있어도 화를 참으면 상대가 더 내 맘을 알아준다. 설령, 몰라준다 해도 화를 내어 화를 불러들이는 것 보다는 낫다.
화를 참는 것을, 성질머릴 부리지 않는 것을 거창하게 수양이랄 것 까지는 없다. 마음 먹기에 달렸기 때문이다. 나의 경우, 참으로 부끄러운 것은 이를 진즉 터득치 못하고 근래들어 깨달았다는 사실이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