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입주자모집 작년 27% ...분양가상한제, 대출규제… 자금난 꽁꽁
도내 소규모 주택건설업체들이 분양가 상한제와 대출규제 등 경기악화로 동면상태에 빠져 있다.
13일 대한주택건설협회 경기도회와 업체들에 따르면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기관이 조성하는 주택건설이 활기를 띄는 반면 소규모 주택건설업체들은 몇년째 건설실적이 없어 잠정 휴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도내 주택건설등록업체 1천112개가 올해 12월까지 신도시 1개 단지 규모인 1천714가구의 입주자 모집공고를 발표했으며, 이는 지난해 6천240가구에 비해 27.4%에 불과한 수치이다.
올해 실적은 광교신도시 한 단지에 공급하는 ‘자연& 힐스테이트’ 1천764가구와 비슷한 규모로 도내 소규모 업체들의 건설실적이 전무한 상황이다.
안양 B업체는 3년째 주택건설사업에 손을 놓고 있다. 85㎡형 50여 가구를 지을 수 있는 토지를 소유하고 있지만 은행대출의 문턱이 높아 자금수혈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 동두천 H업체는 수도권 내 공공택지를 분양받아 아파트를 건설할 계획이지만, 300가구 이상 건축 실적이 없기 때문에 대기업에게 1순위를 뺏겨 2·3순위만 기다리고 있는 형편이다.
이처럼 소규모 건설업체들은 분양가 상한제에 따른 수익 감소와 저렴한 보금자리주택 발표 등에 따라 직·간접적인 피해를 보고 있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경기지회 관계자는 “관급공사를 따낸 대형건설사들은 그래도 예년 실적을 올리고 있지만, 소규모 주택업체들은 아예 사업을 벌이지 않는 것이 낫다고 판단할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