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된 소비를 하고 장바구니를 가지고 다니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우리의 일상은 그렇게만 흘러가지 않는다.
갑자기 무엇인가 필요한 것이 생길 수도 있고 깜빡하고 장바구니 없이 마트를 가게 되기도 한다.
그럴 경우 비닐봉투를 구입하기보다 무료로 배치된 박스나 종이봉투를 이용해왔다. 비닐봉투를 사용하고 환불받을 수도 있지만, 큰 불편이 없는 한 종이봉투를 사용하는 것은 나름대로의 작은 그린생활 실천방식이었다.
하지만 지난 해 7월, 이런 생활방식은 작은 위기에 봉착했다.
마트에서 종이봉투를 100원으로 유료화한 것이다. 심지어 이 봉투는 반납도 되지 않는다.
2008년 6월, 환경부에서 종이봉투를 무상으로 지급하도록 지침이 바뀌면서 대형마트에서는 종이봉투를 쉬쉬하며 제공해왔다.
대부분의 업체들은 무상 종이봉투를 계산대에 놓아두었다가 소비자들에게 알려져 종이봉투 이용률이 높아지자, 고객만족센터로 봉투배포장소를 바꾸었다.
그래도 여전히 줄지 않자 유료화라는 결정을 했다. 비닐봉투의 한 해 소비량만 1억 4천여 개이며 67억 원의 매출을 자랑하는데 굳이 종이봉투가 무상이라는 걸 홍보해 부담비용을 늘릴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진정으로 친환경정책의 일환으로 종이봉투를 유료화한다면 비닐봉투 보다 2배 더 비싸게 가격을 책정했을까?
봉투는 하나의 매체라고 볼 수 있다.
브랜드 로고를 새긴 봉투를 대중에게 자연스럽게 노출시킴으로서 소비자들이 일종의 광고전광판이 되어 준 것이다.
광고, 홍보 측면에서 보면 오히려 마트에서 소비자에게 매체사용료를 줘야할 일이다.
친환경정책이라는 미명아래 소비자가 낸 환경이용비용으로 엉뚱한 제3자가 이익을 보고 있지 않는지 걱정이다.
진정 환경을 위해 하는 규제라면 비닐봉투, 종이봉투 할 것 없이 똑같은 가격을 책정하고 장바구니 사용을 더욱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심진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