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일반직 사무관급 승진 및 전보인사에 특정지역 배려 흔적이 짙어 잡음과 불만이 일고 있다. 지난 1일자로 단행된 정기인사는 종전과 달리 28명의 사무관 승진과 함께 107명의 사무관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대규모 인사다. 호남 출신인 김상곤 교육감 취임 직후부터 설왕설래됐던 대대적인 사무관급 교체 작업이다. 그 결과 요직으로 꼽히는 지역교육청의 관리·재무과장에 특정지역 출신을 대거 기용, 많은 억측과 함께 소외된 타지역 출신 등 인사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번 인사에서 특정지역 출신 사무관이 지역교육청 관리·재무과장에 기용된 곳은 수원을 비롯 성남·부천·오산·양평·고양교육청 등 8곳으로, 기존의 안산·광주·하남·김포교육청 등 3곳을 포함하면 전체 지역교육청의 30~40%에 이른다. 동향 출신과 자기 사람 챙기기 인사라는 비판을 들을 소지가 다분하다.
지역교육청 관리·재무과장 자리는 예산, 감사, 총무, 인사 등 조직업무 전반을 장악하고 일선 학교에도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요직이다. 이 때문에 특정지역 출신을 이 자리에 전진 배치한 것은 오는 6·2 동시지방선거를 겨냥한 것이 아니냐는 뒷말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정기인사 때면 종전엔 50여명 안팎이던 사무관 승진 및 전보인사 폭이 135명에 이른 것은 밑바닥 뿌리부터 챙기겠다는 김 교육감의 의지가 아니겠느냐는 말들이 무성하다.
더욱 간과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은 조직 내 파벌이다. 지난 4·8 경기도교육감선거 직후 결성된 도내 교육계 특정지역 향우회격인 ‘네팔(4·8)산악회’가 인사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김 교육감은 이를 해명할 책임이 있다.
인사엔 항상 불만이 따르게 마련이지만 인사권자의 동향 출신 챙기기와 특정지역 출신 직원 모임 조직의 입김에 인사가 좌우된다면, 이는 단순한 인사 불만에 머무르지 않고 직원들의 불안과 동요로 이어진다. 공조직의 사조직화는 불가하기 때문이다.
인사의 성패를 가리는 중요 기준의 하나는 조직 구성원의 다수가 납득하느냐 여부다. 많은 구성원이 수긍하지 못하는 인사는 조직 융화와 직원 간 단합을 해친다. 조직이 원활히 작동할 수도 없고, 행정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없다. 인사권자의 각성이 필요한 때다. 직원을 편가르기 하는 조직 내 파벌설의 폐해를 타파하는 일이 급선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