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후보 등록 고작 2명·광역의원도 10명 불과… 각당 전략공천도 불투명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해 여성 의무 공천이 실시되지만 6·2지방선거를 앞두고 경기도내 여성 출마 희망자가 극소수에 그치면서 여성인물난이 벌어지고 있다.
더욱이 민선 지방자치가 실시된 이후 도내에선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 이외에 단 한명의 여성 단체장이 선출되지 못해 이번 지방선거를 통한 여성단체장 선출 여부가 주목된다.
3일 중앙선관위의 예비후보자 등록현황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도내에서 등록한 예비후보자 중 기초단체장의 경우, 여성은 광명시장 곽향숙, 이천시장 박현아 예비후보 2명으로 전체 등록자 106명의 1.8%에 그치고 있다.
광역의원도 마찬가지로 전체 예비후보자 139명 중 여성은 10명에 불과한 상태이며 기초의원의 경우, 남성 예비후보자는 306명인데 반해 여성은 31명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각 당이 여성의 정치 진출을 위해 전략공천 등의 방식으로 여성 기초단체장 후보 공천을 검토하고 있지만 실행 여부도 불투명한 상태다.
공천 과정에서 지역에 따라 적합한 여성 후보자를 발굴하기 어려운데다 각 당이 당선가능성을 공천심사의 주요기준으로 삼고 있어 일방적인 전략 공천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역연고를 바탕으로 경력·이력 및 정당 활동 등 선거후보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여성 출마자를 발굴하기도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이유로 한나라당 경기도당은 지난 5·31지방선거에서 여성 전략 공천 방침을 가졌지만 실제 공천 결과, 단체장 후보로 단 1명의 여성 공천자도 배출하지 못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국회가 지난 2일 공직선거법 개정을 통해 이번 지방선거에서 국회의원 선거구마다 광역·기초의원 정수의 과반 후보를 내는 경우, 1명 이상을 여성으로 의무공천하도록 했지만 기존 여성 지방의원 숫자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정당 관계자들은 “비례의원 할당제나 선거법 개정 등을 통해 지방의원의 경우, 여성 진출이 다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공천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면서 “인재 영입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여성후보를 발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김동식기자 ds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