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사회가 숙연하다. 지난 26일 저녁 9시45분 발생한 서해안 해군 함정 참사가 발생한 지 오늘로 닷새째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도, 침통한 사회분위기가 조성된 것은 애국심이다. 국군 46명이 생사 불명에 처한 비통함이 가슴을 짓누른다.
정치권의 쌈질이 수그러들었다. 6·2 지방선거 선거판 열기가 주춤해졌다. 당연하다. 나라가 미증유의 참사로 온통 슬픔에 잠긴 판에 선거판 쌈을 벌인다면 염치가 있다고 할 수 없다.
정부는 물론이고 각급 공공단체들도 예정된 행사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국민적 불행을 당해 자숙 분위기를 갖기 위해서다. 공무원들은 비상대기 상태다.
그렇잖아도 나라가 다사다난한 가운데 돌발한 천안함 폭발 참사는 원인이 뭣이든 심각한 후유증을 예고한다. 함선 자체의 내부 폭발 같으면 군의 기강 해이가 문제된다. 군함은 개미 한 마리도 포착할 수 있을 만큼 장비가 첨단화됐다. 하물며 군함에 적재한 탄약이 일순간에 폭발했다면 군의 지휘체계 문란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만약에 외부에 의한 폭발이 북의 소행이라면 명백한 도발이다. 예컨대 1987년 11월29일 발생한 KAL858기 폭파사건은 북의 대남공작부가 자행한 테러다. 그러나 군함 공격은 군의 국지적인 전쟁 도발이다. 도발이라면 연평해전 등의 패전에 대한 보복 등 긴장 고조를 위한 다목적 포석일 것이다. 이의 대응책으로 전쟁을 벌이진 않는다 해도 응분의 응징이 있어야 하는 것은 마땅하다.
그러나 현실은 미궁이다. 한마디로 답답하다. 폭발의 원인도 모르고 실종자들의 생사도 확인되지 않은 가운데 마냥 시일만 간다. 이렇다 보니 세간의 의문만 빗발친다. 정부의 대처가 웬지 미덥지 않아 보이기까지 한다. 당국에서는 최선을 다한다고 하겠지만 실정이 이렇다.
하지만 국민사회는 이럴수록 침착해야 한다. 정체불명의 소문에 들뜨지 말아야 된다. 국난이다. 우선은 인내심을 갖고 지켜보는 것이 순리다. 정부는 이런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지 말아야 할 것이다.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