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점방식 ‘개최지 퍼주기’ 변경… 경기, 최대 2만5천점 손해 전망
제91회 전국체육대회(10월·경남)에서 출전사상 첫 종합우승 9연패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경기도가 대한체육회의 전국체전 채점방식 변경으로 인해 목표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30일 경기도체육회에 따르면 대한체육회가 지난달 25일 시·도체육회에 통보한 ‘전국체전 채점방식 변경(안)’에 따르면 메달 가산점 축소와 각 체급별 쿼터제 도입에 따른 개최 시·도 출전 인원 축소, 기존의 개최지 득점 가산점제도에 따라 경기도는 최대 2만5천여점 안팎을 개최지에 비해 손해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그동안 ‘영원한 맞수’ 서울특별시와 우승경쟁을 벌여온 경기도는 앞으로 막강한 프리미엄을 얻게 되는 개최지의 거센 도전을 받게 돼 정당한 경쟁으로 순위를 가리는 ‘전국체전 무용론’마저 대두되고 있다.
변경된 체전 채점방식 가운데 경기도가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되는 종목은 개인전 및 단체전의 메달 가산점 축소다.
대한체육회는 지난해까지 개인전의 경우 금메달 80점, 은메달 40점, 동메달 20점을 배정하던 메달점수를 올해부터 각각 40점, 20점, 10점으로 50% 축소했고, 단체전은 금메달 80점(종전 120점), 은메달 40점(종점 60점), 동메달 30점으로 30%씩을 감했다.
이에 따라 전국체전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쏟아내는 경기도는 변경된 방식이 적용될 경우 1만점 가까이 손해를 볼 것으로 보여진다.
또 변경된 채점방식에는 복싱과 레슬링, 씨름, 유도, 태권도, 보디빌딩 등 체급 종목과 볼링, 수중 등 종목에 개최지는 부별 전 체급(종별) 참가를 허용하는 반면, 여타 시·도에 대해서는 부별 2~3명씩 참가를 제한하는 쿼터제를 도입해 개최지에 과도한 특혜를 부여했다.
한편 대한체육회는 기존에 전 토너먼트 종목에 대해 개최지의 시드를 부여(부전승)한 데 이어 개인종목에 대해서는 개최지의 득점에 가산했던 10% 득점을 지난해부터 20%로 상향 조정해 ‘개최지 우승 만들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이로 인해 그동안 많은 예산을 투입해 우수선수 육성을 통한 한국체육 발전에 앞장섰던 경기도는 대한체육회의 전횡에 9연패 달성 전망이 어두워졌을 뿐 아니라 전국체전 참가 회의론마저 일고 있다.
/황선학기자 2hwangp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