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지역별 내천 논란·탈당 잇따라, 민주는 야권 단일화 진통
6·2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은 내천 논란 등 공천잡음이, 민주당은 야권 단일화에 따른 공천 부담감으로 벌써부터 공천 후유증 우려를 낳고 있다.
한나라당 경기도당 공직후보자추천심사위원회(이하 도당 공심위)는 31일 부천시장 후보선출을 실시하기로 했다. 선출방식은 당원 1천명의 경선으로 실시하되 여론조사 결과를 40% 반영하기로 했으며 세부적 절차는 공심위가 결정하기로 했다.
또 도당 공심위는 현지 실사에 이어 이날부터 광역의원을 상대로 면접조사에 들어가는 등 심사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역별로 내천 논란이 벌어지고 공천에 반발해 탈당이 잇따르고 있다. 수원의 모 지역에선 일부 지방의원들에 대한 물갈이설이 확산되면서 당원들의 반발 여론이 일고 있으며 현역의원의 내천설 등으로 공천을 신청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양평의 경우, 도당 공심위 구성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당원협의회가 후보자를 추천하자 출마자들이 사실상의 내천이라며 탈당한 뒤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현역 의원들을 배제하기 위해 중앙당의 지역별 여성 1인 공천 방침을 이용, 여성 후보를 사전에 조정해 전략적으로 내세우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도당 공심위 관계자는 “공식적인 후보 심사 없는 당협위원장의 내천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공천심사 원칙에 따른 후보자 추천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달리 민주당은 단일화 부담감에 따라 공천심사가 진통을 겪고 있다.
민주당 도당은 선거 전략상 여당의 공천 이후 후보 공천 작업에 나서는 정치적 고려에도 불구, 지난 30일 7개 지역 단체장 후보를 선정했다. 또 민주당 도당 공심위는 이번 주내로 경선 지역을 제외한 지자체에 대한 공천 작업을 마무리하는 등 단체장 공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러나 지방의원 공천심사와 관련해 민주노동당 등 타 여당의 반발로 인해 공천자 선정에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 도당이 독자적으로 도내 전 지역에 후보자를 공천할 경우 사실상 야권 단일화에 합의하지 않는 것으로 비춰지기 때문이다.
민주당 도당 관계자는 “적합한 후보자가 있고, 없고의 문제를 떠나 광역·기초의원에 대한 공천 결과를 발표하는데 부담감이 따르는 게 사실”이라며 “타 야당과의 협의 과정을 지켜보면서 공천 여부를 봐야 하기 때문에 단체장 공천보다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동식·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