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군합조단 "개스터빈실 좌현 밑, 수중폭발로 천안함 침몰"

"선체 절단면 등 육안검사 결과 수중폭발로 판단...비접촉폭발 가능성 커"

"천안함 침몰은 개스터빈실 좌현 밑부분에서 일어난 강력한 폭발의 버블제트(Bubble jet)때문이다"

 

천안함 함수마저 인양에 성공한 가운데 민군합동조사단은 함체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 천안함 침몰이 비접촉 수중폭발에 의해 일어났다고 잠정 결론지었다.

 

윤덕용 민.군합동조사단장은 25일 2차 현장조사결과 브리핑에서 "선체 절단면 및 내,외부 육안검사 결과, 수중폭발로 판단됐고 선체의 변형형태로 볼때 접촉폭발보다 비접촉폭발의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안으로 심하게 휘어진 절단면 상태는 수중폭발 가능성을 뒷받침해주고 선체 내,외부에 폭발 그을음이나 열에의해 녹은 흔적이 전혀 없고, 파공된 부분도 없어 비접촉폭발임을 설명하고 있다는 것.

 

그는 정확한 천안함의 개스터빈실의 왼쪽 아래 수중에서 거대한 폭발이 일어났을 것으로 지목했다.

 

이 부분은 상사식당,기관조종실,건조물 창고, 사병식당조리실 등이 같이 있던 곳으로 좌현쪽으로 약 3.2m, 우현쪽으로 약 9.9m정도가 모두 유실된 상태다.

 

폭발점이 배밑바닥에 가까울 수록 초기 폭발표과가 크고 상대적으로 버블제트 효과는 적어지지만 멀어질수록 버블제트 효과가 커진다는 점에서 우현의 유실정도가 크다는 것은 좌현쪽이 폭발점과 가까웠다는 것을 반증한다.

 

물기둥이 목격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물기둥이) 위쪽으로 나갈 수도, 옆으로 나갈 수도 있고 수중의 깊이에 따라서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폭발을 일으킨 무기가 어뢰냐 기뢰냐 하는 점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답변을 하기에는 이른 것 같다"며 답변을 피했다.

 

그동안 사고원인으로 제기됐던 내부폭발,암초에 의한 좌초, 피로파괴 가능성들은 모두 제외됐다.

 

탄약고, 연료탱크에 손상이 없었고 내장재가 불에 탄 흔적이 없어 내부폭발 가능성은 없었고 선저에 긁힌 흔적이 없고 소나돔 상태가 양호하여 좌초의 가능성 역시 배제됐다.

 

피로파괴설 역시 절단면이 복잡하게 변형된 선체 손상형태로 인해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결론났다.

 

윤덕용 단장은 정확한 조사결과 발표 시점에 대해서 "함수의 경우 조사를 준비하는데만도 3일이 걸리고 시뮬레이션 작업도 시간이 걸린다"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군은 26일에도 인양된 함수에서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실종자 6인에 대한 정밀 수색작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