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하 진보신당 인천시장 후보는
김상하 진보신당 인천시장 후보는 지역의 대표적인 진보진영 인사로 ‘인천을 바꿔 나가는 진보 시장’을 꿈꾸고 있다. 김 후보는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엘리트지만 민주화투쟁을 펼치면서 힘든 여건 속에서도 근로자들을 위해 변호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인천에서 노동·인권 변호사로 활약했다. 김 후보는 “사회 복지를 확충하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회복지개혁과 생활 속의 진보를 이뤄 내겠다”고 강조했다.
노동정치연대 시절 민주운동가로 주목
민주노동당 창당 당원으로 정치 입문
“복지·교육 확대 살기좋은 인천 만들것”
◇출생과 학창시절
김 후보는 1964년 경북 영주시 풍기읍에서 농사를 짓는 부모님 슬하에서 4남1녀 가운데 셋째로 태어났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성적이 뛰어났던 김 후보는 고모 할머니가 살고 계시던 서울 성북구로 유학을 오게 된다.
다른 형제들은 어려운 가정 형편 탓에 대학에 진학하지 못했지만 김 후보는 서울 홍대부고를 졸업하고 1983년 서울대 법대에 입학했다.
당시 군사정권 치하에서 억압받는 민중의 생활을 지켜 보면서 사회과학 공부에 입문, 학생운동에 참여해 서울대 초대 ‘반제 반군사독재 민족민주 투쟁위원회’ 위원장을 맡는다.
민주화투쟁으로 1년 동안 옥살이를 하게 되자 아버지는 충격으로 한쪽 귀 청각을 잃었고 어머니는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활동에 참여했다.
◇민주화를 위한 길에서
김 후보는 1989년 서울대를 졸업한 뒤 부천에서 작은 공장들을 전전하며 노동운동에 참여했다.
이후 인천에서 인천노동운동단체협의회와 민중생존권쟁취 국민연대 등에서 활동하다 독자적인 진보정치세력을 형성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민중정치연합 인천지부 부지부장과 노동정치연대 인천지부장, 국민승리21 인천본부 총무위원장 등을 맡는다.
1996년 김영삼 정부가 노동법을 날치기로 통과시켜 총파업이 진행되자 노동정치연대 인천지부장으로 활동하다 또 다시 구속되면서 민주화 운동가로 주목받는다.
김 후보는 선배 권유로 지난 1998년 사법고시 준비를 시작했지만 당시 아내는 임신 중이었고 수입도 없는 터여서 학교 선배인 이양원 변호사로부터 물질적으로 지원받으며 헌 책을 사서 공부했다.
그는 2004년 인천으로 돌아와 학익동에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 본격적으로 노동·인권 변호사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평소의 소신대로 민주노동당 창당 당원으로 참여한 뒤 2006년 연수구 시의원으로 출마, 14%대를 득표했고 민주노동당 인천시당 부위원장으로 활동하다 진보신당으로 분당될 당시 진보신당을 택했다.
◇행복한 인천 만들기
김 후보는 기업하기 좋고 일자리가 늘어나는 인천, 복지와 교육 지원 확대를 통해 살기 좋고 행복한 인천 등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의 정규직 전환을 통해 민생경제를 활성화하고 인력충원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제 도입과 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방침이다.
장애인소득 보장을 위한 각종 수당제도와 사회적응능력을 높이기 위한 자립교육 등도 도입하겠다는 구상이다.
계양산 골프장과 검단~장수 구간 도로 개설을 중단시켜 환경을 보전하고 교육혁신특구를 지정, 창의력 교육을 강화해 학생들의 학력을 향상시키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이선주기자 sj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