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경기지사 후보 공약 수정…왜?

단일화 이루기 위한 원칙 포기 vs 단일화 과정의 공약 조정, 반응 엇갈려

6.2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민주노동당과의 후보 단일화에 성공한 국민참여당 유시민 경기도지사 후보가 야권후보들과의 단일화를 거치면서 당초의 소신을 뒤집는 입장을 잇따라 내놓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8일 각 정당과 지역정가에 따르면 유시민 후보 측은 당초 경기도 제2청의 교육국 존폐 논란과 관련, "당선된 뒤 결정하겠다"는 비교적 유보적인 입장이었다.

 

실제 유시민 후보 측 김희숙 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지난 14일 CBS노컷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기존에 역할을 했던 분들(교육국 공무원)과 협의한 뒤 결정할 문제다"라며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교육국 폐지론에 대해 다소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었다.

 

그는 그러면서 "학교 안 교육은 교육청이 맡고 그밖의 지역사회 교육은 도청이 보완한다는 것이 (유 후보의)기본적인 생각"이라면서 "분명한 것은 유 후보가 당선되면 (교육국이)김문수 지사 때와는 전혀 다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처럼 교육국 문제와 관련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던 유 후보의 소신은 최근 교육국 폐지론으로 완전히 기울어졌다.

 

실제 유 후보는 최근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경기도의 교육국은 김문수 지사가 경기도교육청의 권한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로 만든 것이다"라며 "도지사로 당선되면 교육국을 폐지하겠다"고 선언했다.

 

당초 유보론을 폐지론으로 완전히 선회한 것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유 후보가 단일화 후보 경선에서 맞붙었던 민주당 김진표 후보의 교육국 폐지 공약을 사실상 받아들인 것이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도청 내 교육국 폐지가 김 후보가 내세운 대표 공약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교육국 문제와 더불어 또 하나의 뜨거운 감자인 무상급식 공약은 민주노동당 안동섭 후보와 단일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부 수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 후보는 당초 3년에 걸쳐 도내 모든 초·중학교에 친환경 무상급식을 실시하겠다고 밝혔지만 "단계적 시행이 아닌 일률적인 전면실시가 필요하다"는 안 후보 측의 입장을 받아들여 이를 상당 부분 앞당기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유 후보가 단일화 과정에서 당초 소신을 바꾸거나 일부 수정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지역정가에서는 유 후보가 '단일화'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 스스로 세웠던 원칙을 포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반면 이같은 탄력적 공약 조정은 단일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긍정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에 대해 김희숙 대변인은 "단일화 이전에 이미 각 정당과의 정책적 협약이 있었기 때문에 단일화로 인해 공약이 바뀌거나 한 것은 아니다"라며 "교육국에 대한 판단은 자체적인 검토에 의한 것이었고 무상급식 공약도 시기를 조금 당길 수 있다는 의미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