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위치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좌현 3m, 수심 6~9m정도
천안함은 어뢰가 수중폭발해 발생한 충격파와 버블효과에 의해 절단됐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천안함 침몰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민.군합동조사단은 20일 국방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천안함은 어뢰에 의한 수중 폭발로 발생한 충격파와 버블효과에 의해 절단되어 침몰됐고, 폭발위치는 가스터빈실 중앙으로부터 좌현 3m, 수심 6~9m정도"라고 밝혔다.
조사단이 어뢰피격에 의한 침몰로 결론짓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침몰해역에서 발견한 어뢰 추진동력부인 프로펠러를 포함한 추진모터와 조종장치등의 증거물.
발견된 부품들은 북한이 해외로 수출할 목적으로 배포한 어뢰 소개 자료의 설계도에 명시된 크기와 형태가 일치하였고 추진부 뒷부분 안쪽에 "1번"이라는 한글 표기가 있어 북한에서 제조되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는 것.
일부 언론에서 중국산 어뢰에 의한 피격일 가능성도 제기했지만 피격어뢰는 북한산인 것으로 확인됐다.
선체손상부위와 함정 내외부를 살핀 결과 절단된 가스터빈실 격벽이 크게 훼손되고 함수,함미의 선저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꺽인점, 선저부분의 수압 및 버블흔적, 열흔적이 없는 전선의 절단 현상등이 버블효과에 의한 침몰 증거로 제시됐다.
충격으로 쓰러진 좌현 견시병의 얼굴에 물이 튀었다는 진술과 백령도 해안 초병이 2~3초간 높이 약 100m의 백색섬광 기둥을 관측했다는 진술은 수중폭발로 발생한 물기둥 현상과 일치한다고 주장했다.
희생자들에 대한 사체검안 결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지진파와 공중음파 분석 결과, 백령도 근해 조류 분석 결과등도 어뢰피격설의 근거로 제시됐다.
윤덕용 조사단장은 "이러한 결과는 일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좌초나 피로파괴,충돌,내부폭발과는 전혀 관련이 없음을 확인해 주었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