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지휘부 대대적 문책 잇따를 듯
천안함 사건으로 우리 군의 경계태세에 큰 구멍이 뚫렸다는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이를 대비하지 못한 군 지휘부의 대대적인 문책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0일 민·군 합동조사단의 결과 발표에 따르면 북한은 상어급 잠수함 1척과 연어급 잠수정 1척을 서해 외곽으로 우회침투 시킨 뒤 치명적인 공격을 위해 야간에 연어급 잠수정이 어뢰를 발사해 천안함을 타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리 군은 북한 잠수정을 감지하기는 커녕 어뢰가 발사돼 폭발하는 순간까지도 아무런 신호를 포착하지 못했으며, 침투 경로와 도주 경로·사전 정찰 여부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이는 북한 잠수정에 철저히 당한 것이고, 군 대비태세에 엄청난 구멍이 뚫렸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계함인 천안함에 음탐기(소나)가 장책돼 북한의 수상함은 물론 수중침투를 막아야 하는 임무가 있음에도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천안함 생존 장병 중 소나 담당 부사관은 “폭발음이 들리기 전까지 수중에서 아무런 물체도 포착되지 않았다”고 말한 것이 이를 반증한다.
이에 따라 언제든지 북한이 침투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는 서해 접적지역에 대해 대비태세를 더욱 확고히 하고 후 군사 경계태세를 완전히 새롭게 해야 한다는 질타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특히 수중무기와 침투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며, 매너리즘에 빠져 있는 군 당국에 대한 기강 확립도 필수라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군사작전 대비태세를 게을리 해 북한 잠수정이 우리 영해를 제집 드나들 듯 하며 기습공격을 감행했음에도 속수무책으로 당한 군 지휘부의 대폭 문책 가능성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물론 작전을 책임지는 이상의 합참의장과 김성찬 해군참모총장 등 해당 라인 지휘관들이 모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군 안팎에서는 ‘작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해도 경계에 실패한 지휘관은 용서할 수 없다’는 군의 불문율을 거론하는 목소리가 부쩍 늘고 있고, 사상 최대의 군 인사를 통해 분위기 쇄신과 기강확립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 상황이다.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