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일본 재정위기는 한국의 새로운 기회

올 초 유럽의 재정위기로 그 동안 추진해오던 유럽단일화는 무너지는 모습을 보였다.

 

유럽의 화폐단일화를 통해 경제적인 요소들은 어느 정도 통합을 이뤘으나, 정치적인 요소들로 인해 그나마 진행된 유럽단일화는 후퇴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을 바라보는 시선은 가벼운 일시적인 악재에서 장기적인 악재 즉, 디플레이션에 의한 더블딥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세계 채권시장에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중국의 시선이 부정적으로 바뀌고 있는 것은 유럽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 경제가 미국의 ‘리먼사태’처럼 최악의 시나리오대로 흘러가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리먼사태의 경우 그 규모를 예상하지 못했던 ‘예견치 못했던 악재’이고, 이번 남유럽의 재정위기는 10년전부터 꾸준히 제기 되어오고 있던 ‘예견된 악재’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현재 한국 시장은 유럽발 악재와 북한 리스크란 큰 두가지 악재에 대해 위험분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악재에 대한 내성이 커진 만큼, 바뀐 환경을 바탕으로 글로벌 투자자로부터 새로운 재평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시장에서 세계 기업들과 경쟁에서 살아남은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그랬듯이, 향후 유럽의 침체는 차근히 경쟁력을 갖춘 한국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장이 될 것이다.

 

이렇게 한국 기업들이 치열해진 경쟁구도에서 살아남을 것이라는 입장에는 크게 두 가지 근거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한국의 기업들이 대규모 현금확보 후 경쟁업체들 보다 빠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 이러한 선투자는 실적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1분기 한국의 매출 회복 속도로 이어지고 있다.

 

둘째, 외국인들의 한국 시장에 대한 채권투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향후 한국 시장에 대한 매력도가 높아지고,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금의 위기는 한국에게는 새로운 기회의 장이 열린 것이고, 이 기회의 시기에 한국은 글로벌 시장에서 위너가 될 수 있는 좋은 발판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유기상 대신증권 수원지점 지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