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치주질환이 많은 원인은?
흔히 ‘풍치’로 불리는 치주질환이 여름철에 많은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5~2009년 사이 ‘치은염 및 치주질환’에 대한 월별 진료 추이를 분석한 결과 매년 7~8월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여름철에 치주질환이 많은 원인은 체력과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구강 내 세균이 활성화되어 감염이 잘 생기고 탄산음료나 아이스크림의 섭취가 늘어나면서 치아 부식이 발생하며 살균작용을 하는 침의 분비가 줄어 치아가 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방학과 휴가를 맞아 병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것도 진료인원이 늘어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진료인원은 2005년 515만 명에서 2009년 738만 명으로 223만 명, 연평균 약 55만 8000명(9.4%)씩 증가했으며, 총 진료비는 2005년 2165억 원에서 2009년 3532억 원으로 1367억 원, 연평균 약 341억 7000만원(13.1%)이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치은염 및 치주질환의 진료인원은 남녀 모두 40대~50대가 전체의 40%이상을 차지했으며 남성은 60대(13.9%)가 20대(9.8%)보다 환자가 많은 반면 여성은 20대(13.7%)가 60대(13.4%)보다 진료인원이 약간 많았는데 이는 임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치주질환은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나뉘는데 치은염은 잇몸에 국한된 염증상태를 의미하며 치주염은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말한다.
치은염은 잇몸이 빨갛게 붓고 출혈이 있을 수 있으며 염증이 지속되어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 구취가 나며, 심한 경우 치아와 잇몸 사이에서 고름이 나오고 치아가 흔들리기도 한다.
치주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은 치아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치태라는 세균막이며, 치태가 제거되지 않고 단단해지면 치석이 된다.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사와 양치질을 통해 치아에 치태와 치석의 형태로 존재하는 세균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다.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이용해 치아 인접면을 깨끗이 하고 칫솔은 3개월에 한번은 교체하고 칫솔모가 퍼져있거나 마모되어 있으면 시기에 상관없이 교체해야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치과검진과 스케일링을 받는 것도 치주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