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장소비자가격 폐지’ 되레 불편

제품가격 알 수 없어… 소비자들 “답답하다”

22일 오전 11시30분께 인천시 중구 모 대형 슈퍼마켓 주인 정모씨(45·여)는 소비자가격을 물어보는 손님들에게 하나하나 제품가격을 확인하고 대답해주느라 분주했다. 그는 “그 많은 물건 가격을 일일이 다 외울 수도 없고, 제품마다 가격표를 붙여 놓을 수도 없고 이래저래 힘들다”며 “그나마 다른 슈퍼마켓보다 싸게 파는 것들은 큼지막하게 세일한다고 써놓을 수도 있었는데, 이제는 이마저도 할 수 없어 장사를 어떻게 하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같은날 오후 1시께 인천시 서구의 한 중학교 앞 F편의점은 점심시간을 이용해 빵이나 과자 등을 사는 학생들로 붐볐다. 학생들은 과자를 고르면서 일일이 가격을 물어보느라 정신이 없었다. 중학생 김서현양(14·여)은 “제품에 일일이 가격이 붙어 있는 게 아니어서 대충 계산해보고 골라야하니 좀 힘들다”며 “과자 몇개 사는 것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인천지역에서도 이달부터 개방형 가격제(오픈 프라이스)가 시행되고 있지만 합리적인 가격경쟁으로 소비자물가가 안정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소비자들의 체감효과는 극히 미흡하다.

 

더욱이 라면, 과자, 빙과류, 아이스크림류, 의류 등 서민들이 많이 쓰는 247개 제품의 권장(희망)소비자가격 표시가 금지돼 오히려 제품가격을 알 수 없어 되레 답답함이나 불편함 등을 호소하는 소비자들만 늘고 있다.

 

이에 대해 소비자 관련 시민단체 관계자는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가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격비교 사이트나 바코드 인식 가격정보 제공 등 다양한 가격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거나 매장에 가격표시를 의무화하도록 하는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