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군의회 건의안 채택, 청와대·경기도 등에 촉구
양평군의회(의장 김승남)가 백지화 위기에 놓인 양평~송파간 민자 자동차 전용도로의 조속한 건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양평~송파간 민자 도로는 양평군 양서면 도곡 IC를 출발, 제4양평대교~퇴촌IC~산곡IC~위례신도시를 거쳐 송파구 오금동까지 15분대에 주파할 수 있는 22.8㎞ 4차선 고속도로로 예정 사업비는 4천294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최근 한국개발연구원이 ‘하루 통행량이 1~2만대 밖에 안돼 사업성이 부족하다’고 밝혀 백지화 위기에 놓였다.
이에 군의회는 지난 23일 제182회 임시회 제2차 본의회에서 김승남 의장을 비롯한 7인 의원 전원이 서명 발의한 ‘송파~양평간 민자고속화도로 조기건설 촉구 건의안’을 채택,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국토해양부, 경기도에 각각 송부했다.
대표발의한 박현일 부의장은 “지역 실정을 고려치 않고 오직 수익성 측면에서 사업을 포기하는 것은 양평과 인근 하남, 광주시민을 무시하는 차별정책”이라며 “지역성장의 핵심토대인 송파~양평간 고속도로 사업이 조기에 시행될 수 있도록 간곡히 건의한다”고 밝혔다.
이에 김승남 의장은 “하루 1~2만대 밖에 통행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 고속도로 건설을 미룬다는 논리는 어불성설”이라며 “오염총량제 승인에 따른 양평군의 균형발전 및 수도권 동부권역 생태특화관광 접근로 개선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도로”라고 주장했다.
송요찬 의원도 “한국개발연구원이 산정한 통행량이 현시점에 1.08이면 개통시기엔 최소 1.2가 될 것이고 추정수익률 또한 5.04 보다 높은 12.6%에 이를 것”이라며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들은 사업 예산이 국고로 지원될 수 있도록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양평~송파간 고속도로 건설은 지역경쟁력 제고는 물론, 30년 팔당 규제 피해 보상 및 2017년 양평시 승격 프로젝트에 따른 중·장기 계획을 감안할 때 ‘선택이 아니라 의무사항’이라며 국도비 사업으로 추진해 줄 것을 주민들이 강력히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대해 경기도의 한 관계자는 “김문수 경기지사가 선거 전에 김선교 양평군수와 정책협약을 맺은 공약사항인 만큼 향후 긍정적인 검토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양평=조한민기자 hmcho@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