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전국에 걸쳐 미분양된 토지·주택규모가 24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H의 총부채 118조원의 20%에 달하는 것으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사업 재조정과 미매각 부동산 처리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9일 LH에 따르면 이날 현재 광명 역세권, 화성 동탄 2지구 등 LH의 토지, 아파트 등 미매각 부동산 규모는 총 23조6천8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공공택지 등 미매각 토지 규모가 총 20조6천억원으로 전체의 87%에 달했다.
LH의 미매각 토지는 지난해 10월 초 통합공사 출범 초기 17조원 규모였으나 10개월 만에 3조6천억원 가량이 늘어난 것이다.
LH가 통합 이후 보금자리주택지구 외에 신규 택지개발 사업을 거의 중단했음에도 미분양 토지가 많이 늘어난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건설사의 계약 해지 요청이 많았기 때문이다.
미매각 토지는 광명역세권과 양주 옥정신도시, 영종 하늘도시, 김포 한강신도시, 화성 동탄2지구 등 신도시와 택지지구를 중심으로 몰려 있다.
아파트 미분양도 오산 세교(900여 가구), 안산 신길(190여 가구), 인천 서창(1천200여가구) 등에서 미분양이 발생하는 등 모두 2만2천780가구로 총 3조86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사정이 이러하자 LH는 지역본부별로 판매촉진지원단을 설치하고 직원 한 명이 토지 1필지나 주택 1가구 이상을 판매하는 ‘1인 1매각’ 캠페인을 시행하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다.
아울러 지역별로 5년 무이자 대출이나 층·향별 분양가 차등 적용 방식 등을 도입해 사실상 분양가를 낮췄다. 이형복기자 bo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