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패스트푸드 업체 협약 말 뿐… 1회용컵 사용 ‘여전’
“패스트푸드점에 머그잔을 가져오라니요”
대형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환경부와 지난해 5월 체결한 ‘1회용품 사용줄이기 자발적 협약’에 따라 ‘다회용컵 인센티브 제도’ 등을 통한 1회용품 줄이기에 나서고 있지만 효과가 전무,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18일 환경부와 패스트푸드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무분별한 1회용컵 사용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5월 맥도날드·롯데리아·KFC 등 17개 대형 패스트푸드업체들과 ‘1회용품 사용줄이기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
다회용컵 소지자에 무료음료 등 ‘인센티브제’도 효과 없어
이에 따라 패스트푸드 업체들은 지난해 9월부터 1회용컵 대신 머그컵이나 보온잔 등 다회용컵을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환경지킴이 도장을 찍어주고 10번의 도장을 받을 경우 콜라·사이다·아메리카노 등의 음료 1잔을 제공하는 ‘다회용컵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다회용컵 인센티브에 대한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데다 다회용컵을 소지한 채 매장을 찾는 이용객이 거의 전무, 1회용품 사용 억제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 맥도날드 수원성점의 경우 제품판매 시 다회용컵 사용 인센티브 제도를 알리는 홍보 포스터를 매장 어디에도 부착하지 않고 있었으며 다회용컵을 소지한 고객들 역시 찾아볼 수 없었다.
또 롯데리아 산본 중앙점도 지난 1년간 다회용컵을 10회 사용한 이용객이 없어 음료를 무료로 제공한 실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FC 안양점도 1일 300~350개의 종이컵이 배출, 제도 시행전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환경단체들은 1회용품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태희 자원순환사회연대 기획팀장은 “다회용컵 인센티브제가 일회용품 사용억제에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 만큼 실효성 담보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일회용품 사용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박성훈기자 pshoon@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