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이건목 원광대 산본한방병원장

젊은 시절 농사를 많이 지었거나 좌판 장사를 오래 한 사람, 김치 담그기와 걸레청소 등 집안 일을 많이 한 사람에게서 발견되는 공통적인 척추질환은 무엇일까? 바로 척추관 협착증이다.

 

척추관 협착증은 말 그대로 척추관이 좁아져서 생기는 병이다. 척추관에는 척수신경이 지나가는데 나이가 들어 퇴행성 변화로 이러한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질환이다. 특히 쪼그려 앉는 자세로 허리를 숙여 일을 하다 보면 척추가 쉽게 굽고 척추 뼈의 마디가 굵어지며,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인대도 두꺼워진다. 따라서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을 압박해 심한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50~60대 퇴행성 변화로 척추관 좁아져

엉덩이서 발목까지 저리거나 조이는 통증

시술짧고 효과 바로 나타나 침도요법 좋아

 

척추관 협착증 환자들은 엉덩이부터 허벅지, 종아리, 발끝까지 저리거나 당기고 조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고,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아프고 힘이 풀려 쪼그려 앉아 쉬었다 가다를 반복하게 된다.

 

척추관 협착증은 매우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척추뼈의 퇴행성 변화가 많이 일어나는 50∼60대에 이르러서야 광범위하고 다양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나이가 들면서 사람의 몸에서는 다양한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퇴행성 변화가 단순한 노화를 넘어서서 ‘질환’의 수준이 되었을 경우에는 치료를 해야만 정상적인 일상생활과 순탄한 노후를 보낼 수 있다.

 

척추관 협착증의 경우 허리디스크와는 달리 수술을 하더라도 잘 낫지 않으며 치료에 상당히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침도요법은 그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흔히 스트레스를 받거나 과로를 할 경우 목이나 어깨가 뻣뻣하게 뭉치는데, 이럴 때는 옆에서 마사지를 해주면 굉장히 시원하다는 느낌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척추관 협착증이 진행된 척추근처는 인대나 근육이 많이 뭉쳐 있다. 목이나 어깨가 뭉치는 것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단단하다.

 

침도 요법은 긴 침을 사용하여 협착된 척추뼈 주위의 근육, 인대, 힘줄 등의 유착을 절개하여 만성적인 통증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침 치료이다. 또 시술 시간도 10분 내외로 짧아서 환자들에게 부담이 덜한 반면, 효과는 시술을 받은 직후 바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척추관 협착증이 의심될 경우 자가 진단법을 시행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우선, 통증이 있을 때 잠시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나면 편해지거나 구부린 채 걷는 것이 편한 경우, 딱딱한 요보다는 푹신한 침대에 누워야 통증이 덜한 경우, 5분 이상 걸으면 다리가 뻣뻣해지면서 당기고 저리는 증세가 나타난다면 가까운 한방병원에 방문하여 정밀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척추 건강지키기의 가장 현명한 방법일 수 있다.  이 건 목 원광대 산본한방병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