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기업가 4천명 육성… 창조적 도전 지원

국가고용전략회의… 창업·취업 지원 창조캠퍼스 내년까지 10개 조성

정부가 14일 부천시 심곡동 부천대학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 73차 국민경제대책회의 겸 제10차 국가고용전략 회의에 제출한 ‘청년 내 일 만들기 1차 프로젝트’는 2012년까지 청년 일자리 7만1천개를 만드는 것이 골자다.

 

청년 내 일 만들기 프로젝트

 

정부가 제출한 청년일자리는 분야별로 구체적인 로드맵까지 제시해 청년일자리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분야별로는 청년들의 창조적 도전을 지원하기 위해 청년 사회적 기업가 4천명이 육성된다. 신성장 동력분야 창업 기업이 청년 신규 채용을 하면 1인당 최대 720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학교내 창업과 취업을 지원하는 창조캠퍼스를 내년까지 10개를 조성하고 학교 밖에는 기술과 예술 IT 등 젊은이들의 융합형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학교 밖 창조마을 사업이 신설된다.

 

또 원전, 고속철, 에너지, 연구 개발 등 신기술 개발로 부가가치 창출이 유망한 분야의 공기업을 중심으로 청년 고용을 2012년까지 3천600명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들 고용 실적을 공기업 경영평가에 반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각계부처 협의를 통해 현재 인력이 부족한 화재와 자연재해 관리. 재해 질병방지인력, 특허 상표 출원 심사인력 등을 각각 늘릴 예정이다. 특수교육·영양사·유치원 교사·예술·스포츠 초·중·고 영어회화 전문강사 등과 같은 생활 밀착형 일자리 4천800여개도 새로 만들기로 했다.

 

민간부문에서는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가 청년 인재를 함께 발굴하고 육성하는 파트너십을 확립한다. 올해 안으로 전경련 주관으로 ‘대기업-협력업체 공동 채용 박람회’를 개최한다.

 

중소기업 청년인턴 제도를 중견기업(종사자 300~1천명)으로 확대한다. 이를 통해 2012년까지 중소 중견 기업 청년 인턴 제도로 3만7천명을 정식 취업 시킬 방침이다.

 

세대간 일자리 나누기 모델도 확산한다. 대졸인력이 정년 퇴직자를 초과하는 향후 3~4년간 재직자 직업훈련, 실근로 단축, 교대제 개편 등 통해 생기는 빈 일자리만큼 청년을 채용한다. 기업이 청년을 고용할 경우 고용창출투자세액 공제한도를 1.5배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대학 캠퍼스 내에 청년 구직자를 위해 취업아카데미 50개소를 신설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기업과 산업체 주도로 대학 4학년 1만여명을 대상으로 16~20주 정도 체계적 이론 교육과 실습 훈련을 제공, 인턴을 거쳐 취업을 알선한다는 것.

 

특성화고에 대해서도 취업률과 특성화 정도에 따라 시도별, 학교별 특별 교부금을 차등 배분하기로 했다.

 

군대문제로 취업에 애로를 겪는 고졸자들을 위해 2012년 폐지 예정인 ‘산업기능요원제도‘를 2016년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