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 청소년공부방→지역아동센터 통폐합
저소득층 자녀들 방과후 방치 우려
여성가족부가 내년부터 청소년공부방에 대한 지원을 중단, 지역아동센터로 전환·운영키로 했지만 두 기관의 기능에 차이가 있는데다 지역아동센터의 시설기준이 까다로워 상당수 저소득층 자녀들이 오갈데 없이 방치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여성가족부는 최근 도내 132곳에 설치된 청소년공부방에 대한 예산을 내년부터 중단키로 결정, 지난 15일 일선 시·군에 ‘청소년공부방을 지역아동센터로 전환 운영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시달했다.
그러나 지역아동센터는 저소득층 가정의 유아 및 초등학생의 보육에 중점을 두는데 반해, 청소년공부방은 초·중·고등학생의 학습지도에 중점을 두는 시설간의 운영방식에 차이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전환·통합을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더욱이 지역아동센터는 사무실·조리실·식당 및 집단지도시설을 갖춰야 하는 데다 전용면적이 82.5㎡ 이상(20인 미만은 60㎡ 이상)이 돼야 하고, 조리사와 생활복지사 등의 종사자가 배치돼야 하는 등 청소년공부방에 비해 기준이 까다로워 사실상 전환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상남 수원지역아동센터연합회 회장은 “지역아동센터는 유아 및 초등학생 위주의 보육을 담당하고 있어 청소년공부방처럼 중학생 이상의 학생을 수용하기 어려운 등 시설간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청소년공부방을 운영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신모씨(52)는 “현재 대기자가 있을 정도로 저소득층 가정의 호응을 얻고 있고 있는데 왜 굳이 청소년 공부방을 없애고 지역아동센터로 전환을 요구하는지 모르겠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학생들이 최근 지어지는 대형도서관으로 몰려 청소년공부방을 이용하는 학생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두 시설은 중복되는 점이 많아 지역아동센터로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병의기자 redsic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