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저가항공사 유치 팔 걷어야”

인천공항공사, 허브공항 육성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인천국제공항이 동북아의 허브공항이 되려면 수도권지역 공항의 합리적인 역할분담과 저가항공사 유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1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최근 하얏트리젠시인천 호텔에서 이영혁 한국항공대 교수, 박영철 제주항공 경영기획본부장, 이승창 한국항공대 항공경영학과 교수, 이철웅 고려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최정호 대한항공 부장, 황성규 국토해양부 항공정책과장 등이 패널로 참석한 가운데 ‘허브공항 육성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를 가졌다.

 

토론회는 공사가 세계적인 컨설팅업체인 맥킨지그룹에 의뢰한 ‘인천공항 허브화 및 저가항공사 전략수립 용역’ 결과를 발표하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 우리나라 공항발전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영혁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항공자유화를 활성화해 허브공항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항공자유화란 국가 간 협정 없이 항공사끼리 자유롭게 노선과 운항횟수를 정하는 것을 뜻한다.

 

불합리 공항사용료 개선

탑승 편의성 높여줘야

………

 

항공자유화 활성화되면

항공편 인천에 집중될것

 

이 교수는 “항공자유화가 되면 운항편수가 늘어나고 운임은 하락하는 등 소비자 편익이 증가한다”며 “장기적으로 자유화가 확대될수록 인천공항과 같은 허브공항에 항공편이 더욱 집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저가 항공사에 불리하게 책정된 공항사용료 요금구조를 개선하고 탑승 편의성을 높이는 등 저가항공사를 적극 유치해야 한다”며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의 명확한 역할분담도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역할분담이 불명확하면 장기적으로 양쪽 공항이 시설확장이나 운영계획을 세울 때 혼선을 줄 수 있고 역량이 분산되면 공항과 항공사에 모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제발표를 한 맥킨지는 “인천공항은 허브공항으로 발전 가능성이 충분하지만 중국과 일본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면 항공 네트워크에 집중하고 정부, 항공사 및 공항 간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쌓는 게 중요하다”며 “동북아 시장에서도 저가항공사 확산이 예상되는 만큼 이를 활용한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저가항공사 유치를 위한 전용터미널 등 지원시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